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평창의 영광은 잠시뿐이었다…‘썰매’ 다시 서글픈 전지훈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지난 2월 16일 강원도 평창군 슬라이딩센터에서 열린 남자 스켈레톤 경기에서 금메달을 따낸 대한민국 윤성빈이 태극기를 들고 관중에게 인사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141억 들인 슬라이딩센터 운영주체 못정해 잠정 폐쇄

-정부 예산지원마저 ‘뚝’…자생력 못 키운 연맹도 책임론

[헤럴드경제=모바일섹션]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서 가장 큰 환호를 받은 장면을 꼽으라면 단연 ‘아이언맨’ 윤성빈(24)이 금빛 포효한 스켈레톤 종목이다.

훈련 시설조차 제대로 없었던 ‘썰매 종목’ 종목의 불모지인 한국에서 수많은 역경을 이겨내고 세계 정상에 오른 윤성빈의 투혼은 ‘도전 정신’ 그 자체였다.

여기에 남자 4인승 봅슬레이 대표팀도 기적 같은 은메달을 보태면서 한국은 단숨에 썰매 강국으로 급부상했다.

사실 평창올림픽을 대비해 봅슬레이·스켈레톤 대표팀에 특별훈련지원비로 정부예산이 연간 10억원 정도 투입되고, 평창 슬라이딩센터도 완공돼 선수들이 마음껏 홈 그라운드의 이점을 살리면서 메달의 기적을 일궈낼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의 상황은 2000년대 초반 훈련할 곳이 없어 아스팔트에서 바퀴 달린 썰매를 타고, 외국에서는 봅슬레이를 빌려서 경기에 참가하던 힘겨웠던 과거로 회귀하는 듯하다.

봅슬레이·스켈레톤 대표팀은 24일 오후 인천공항을 통해 캐나다 휘슬러 전지훈련을 떠난다. 윤성빈 등 간판급 선수들은 휘슬러에서 12월 라트비아에서 시작되는 월드컵 시리즈와 내년 2월 예정된 세계선수권대회 준비에 나서지만 둔 대표팀 선수들의 표정은 밝지 않다.

그 속을 들여다보니 대표팀은 올해 평창 슬라이딩센터에서 한 번도 훈련하지 못했다. 총 공사비만 1천141억을 들여 설립한 슬라이딩센터가 지금은 문을 닫은 상태여서다.

강원도의회에 제출된 ‘강원도 동계스포츠경기장 운영관리 조례 일부 개정 조례안’의 비용 추계서를 보면 슬라이딩센터의 관리 위탁비용에 매년 12억5천200만원 들어간다.

강원도는 관리비용 부담비율을 국비 75%, 도비 25%로 나눌 것을 정부와 국회에 건의해왔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고, 슬라이딩센터는 잠정 폐쇄됐다.

이 때문에 윤성빈을 비롯한 봅슬레이·스켈레톤 대표팀 선수들은 훌륭한 시설을눈앞에 두고도 활용을 못 하는 황당한 상황을 겪고 있다.

성연택 대한봅슬레이스켈레톤경기연맹 사무처장은 “슬라이딩센터의 운영 주체가 제대로 결정되지 않아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라며 “연맹에서 운영비의 일부까지 부담하겠다고 제의했지만 여전히 공전 상태다. 이제 와서 상황을 조사해보겠다고 하니 답답하기만 하다”고 안타까워했다.

훈련장뿐만 아니라 대표팀은 재정적으로도 쪼들리는 상황이다.

평창올림픽 대비해 지원됐던 특별지원비가 끊기면서 대표팀 훈련 예산도 10억원대에서 2억원대로 줄었다. 대표팀, 상비군, 유망주, 코칭스태프까지 규모가 50여명에 이르다 보니 해외 전지훈련 비용을 감당하는 게 쉽지 않다.

성 사무처장은 “평창올림픽을 준비하면서 대표팀 규모가 커졌지만 예산이 줄어 장비 등을 유지하고 감당하는 게 쉽지 않다”라며 “해외 전지훈련 한 차례 나가는 데비용이 5억~7억원 정도 소요된다. 특히 봅슬레이 운송비만 2억원 정도다”라고 말했다.

게다가 평창올림픽을 대비해 봅슬레이를 제작했던 현대자동차도 새로운 썰매 제작을 접었다.

봅슬레이스켈레톤경기연맹 역시 책임에 대해 자유로울 수 없다. 평창올림픽을 앞두고 정부와 민간에서 많은 지원이 있었고, 봅슬레이와 스켈레톤의 인기가 높아졌을 때 제대로 자구책을 마련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onlinenews@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