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경정]환절기 급변하는 가을바람 주의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포츠서울

경정은 여름에서 가을로 접어드는 환절기에는 순간적으로 몰아치는 강풍을 주의해야 한다.



[스포츠서울 유인근 선임기자]무더위가 기승이더니 이젠 어느새 차가운 바람을 걱정하게 됐다. 경정장이 그렇다. 탁 트인 수면 위에서 승부가 갈리는 경정은 계절의 변화에 따라 여러 가지 요소들이 경주에 변수로 작용한다. 그 중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소로 바람이 손꼽힌다. 특히 요즘처럼 여름에서 가을로 접어드는 환절기에는 순간적으로 몰아치는 강풍에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바람의 흐름을 읽고 활용할 줄 아는 선수를 찾는 안목이 중요하다.

경정에서는 스타트할 때를 기준으로 풍향을 등바람과 맞바람으로 나뉜다. 먼저 1턴 마크에서 2턴 마크 쪽으로 부는 남풍과 남동풍을 맞바람이라고 한다. 정면에서 바람이 불어와 저항이 생기기 때문에 평소와 같이 스타트 타이밍을 잡으면 탄력이 늦게 붙어 1∼2초 정도 기록이 늦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통상 선수들은 바람의 영향까지 계산해 살짝 앞서 가속 레버를 잡고 있으나 너무 빠를 경우에는 플라잉의 위험이 있는 만큼 세심한 레버 조작이 필요하다.

경주 운영에 있어 맞바람이 불면 1턴 선회 후 뒤에서 바람이 보트를 밀어주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스타트 후 가장 먼저 턴 마크에 진입하는 선수가 유리하며 1주 2턴 마크 선회시에는 다시 바람을 정면에서 맞아야한다. 이 때문에 보트를 안정적으로 다루지 못하면 실속을 하거나 너울에 회전이 밀리는 위험이 따르기도 한다.

반대로 2턴 마크에서 1턴 마크 쪽으로 부는 북풍 또는 북서풍을 등바람이라고 한다. 선수들이 부담을 가장 많이 느끼는 환경이다. 스타트시 뒤에서 바람이 일정하게 불어준다면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갑자기 강해지거나 뚝 끊기면 계산했던 시속 범위에서 벗어나 낭패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등바람이 불면 1턴 마크 선회 후 바람을 정면으로 맞게 된다. 자칫 보트를 완벽하게 제어하지 못하면 바람에 밀려 회전각이 벌어질 수 있고 경쟁 상대에게 공간을 내줄 수 있다. 센터와 아웃코스에 배정받은 선수들은 안쪽 선수들의 실수를 활용할 수 있는 역습 기회를 잡을 수 있어 바람의 흐름을 읽고 추리의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경정 전문가들은 “지난 37회차 수요일 7경주는 2m/s의 남동풍이 불었다. 다른 선수들은 0.4초에서 0.5초로 다들 스타트가 늦었으나 1코스의 1번 우진수는 0.27초의 자신감 있는 운영으로 우승을 차지한 것을 좋은 예로 들 수 있겠다. 환경적인 변수를 잘 읽고 주어진 조건을 정확하게 활용할 줄 아는 선수를 찾는 것이 좀 더 적중 빈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ink@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