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고교야구 투구수제한 논란] 학부모 연대 "현실성 없는 제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포츠서울

성남고등학교 야구부 함평 훈련. (스포츠서울DB)



[스포츠서울 장강훈기자]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일부 지역 고교 선수 학부모 60여 명으로 구성된 ‘고교야구 학부모 대표 연대’(학부모 연대) 박신태 회장은 16일 “학생들의 취업과 진학에 직격탄을 맞을 수 있는 제도를 개선해달라고 KBSA에 탄원서를 보냈다. 2700여 명의 연명부를 받아 탄원서를 제출했고 두 차례 KBSA 관계자와 면담했다. KBSA에서 ‘재검토 하겠다’는 답을 받았다”고 밝혔다.

서울 일부 대학은 체육특기생 입시 요강에 고교야구 투수들의 이닝 수를 평가 기준으로 삼고 있다. 주말리그를 시행 중인 고교야구에서 투수가 31~45개를 던지면 하루 휴식을 취해야 하는 식으로 등판하면 입시요강 기준을 충족하기 매우 어렵다는 게 학부모 연대의 주장이다. 박 회장는 “학생들의 부상을 방지하자는 취지에는 공감한다. 하지만 투구 수에 따라 짧게는 하루에서 길게는 나흘간 등판을 하지 못하도록 한 규정은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70명 이상 선수단 규모를 갖춘 서울 유명 학교는 수준급 투수 4~5명으로 주말리그뿐만 아니라 토너먼트 대회를 치르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하지만 투수 한 두 명으로 리그를 치러야 하는 신생팀이나 지방 학교는 대회 한 번 치르기도 벅찬 게 현실이다. 박 회장은 “투구수 30개로 1이닝도 못버티는 투수가 수두룩하다. 투구수 제한을 두면 밀도있는 투구를 위해 불펜투구 등 훈련량을 늘리는 폐단이 발생할 수 있다. 부상방지가 목적이라면 과도한 훈련을 자제할 수 있는 현실적인 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스포츠서울

충암고 선수단이 지난달 31일 고양 동국대 야구장에서 손을 맞잡고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스포츠서울DB)


학부모 연대는 해외 전지훈련 금지도 같은 맥락으로 접근하고 있다. 추운 국내에서 동계훈련을 진행하면 부상 위험이 더 높아진다는 주장이다. 박 대표는 “미국이나 일본은 사실 비용이 많이 든다. 동문회가 전폭적으로 지원하는 학교를 제외하면 학부모 부담이 큰 게 사실이다. 하지만 대만이나 필리핀 등 동남아로 전지훈련을 떠나면 국내에서 훈련하는 것과 비용차이가 거의 없다. 체력이든 기술이든 훈련을 하려면 환경이 잘 조성된 곳에서 해야 부상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게 학부모들의 입장”이라고 밝혔다. 사비를 들여서라도 기량을 끌어 올려야 바늘구멍보다 좁은 취업의 문을 뚫을 수 있다는 희망이 깔린 주장이다. 그는 “1월 중순부터 2월까지 제한적 해외전지 훈련을 승인해달라고 요청해 KBSA로부터 ‘검토하겠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KBSA가 학부모 연대의 요구를 모두 들어주겠다는 얘기하는 하지 않았다. 다만 7~8월에 지도자협의회와 면담을 하고 학생 선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해 수정여부를 검토하겠다고 한다. 투구수 제한과 해외전지훈련 금지 규정을 일부 개정하면 학습권과 휴식권을 함께 보장할 수 있는 평일리그제 도입 등에 대한 제안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zzang@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