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이슈 스포츠계 사건·사고 소식

‘KBL 컴백 논란’ 이대성, 1년 만에 다시 기자회견…삼성과 2년 6억원 FA 계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대성이 1년 만에 다시 마이크를 쥔다. 그러나 1년 전과 분위기가 다르다.

서울 삼성은 지난 21일 FA 이대성과 계약 기간 2년, 보수 총액 6억원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대성은 2023년 FA였으나 해외 진출을 선언했고 일본 B.리그 시호스즈 미카와에서 2023-24시즌을 소화했다. 미카와의 플레이오프 진출에 도움한 그였으나 1년 만에 KBL 복귀를 선언했고 행선지는 대구 한국가스공사가 아닌 삼성이었다.

매일경제

이대성이 1년 만에 다시 마이크를 쥔다. 그러나 1년 전과 분위기가 다르다. 사진=KBL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삼성은 “이대성은 풍부한 경험과 공수력을 겸비한 국가대표 출신 가드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팀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가 된다”고 밝혔다.

이례적으로 입단 기자회견까지 준비한 삼성이다. 이대성은 22일 오후 2시 KBL 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는다. 다만 청문회와 비슷한 분위기가 될 가능성이 높다.

이대성은 2022-23시즌 종료 후 해외 진출을 선언했다. 이 과정에서 KBL 몇몇 구단의 관심을 받았고 한국가스공사 역시 재계약을 기대했다고 밝혔으나 선수의 뜻을 꺾을 수 없었다.

해외 진출에 폐쇄적인 KBL에서 한국가스공사의 선택은 대단히 놀라웠다. ‘국내 득점왕’에게 별다른 조건 없이 해외 진출의 문을 열어준 건 큰 결심이었다. 더불어 이대성의 2022-23시즌 보수는 5억 5000만원, 만약 그가 국내 타구단으로 이적을 선택했다면 한국가스공사는 최대 11억원의 보상금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해외 진출을 강력히 원하는 선수를 억지로 붙잡을 수 없었다.

매일경제

서울 삼성은 지난 21일 FA 이대성과 계약 기간 2년, 보수 총액 6억원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사진=삼성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대성은 B.리그 진출 과정에서 한국가스공사로부터 은퇴가 아닌 계약 미체결 신분으로 풀렸다. 만약 은퇴 신분으로 풀렸다면 KBL로 돌아올 때 한국가스공사로 복귀해야만 했다. 그러나 한국가스공사는 이대성을 계약 미체결로 풀었다. 계약 미체결 선수는 KBL로 복귀할 시 10개 구단과 모두 협상이 가능하다.

계약 미체결이 아닌 은퇴를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이었다. 이대성 측은 해외 진출 과정에서 계약 미체결보다 은퇴 및 임의해지에 대한 선택지를 언급했다고 한다. 한국가스공사는 당시 내부 FA 중 이대헌, 이대성과의 재계약을 원했다고 밝혔다. 서로 정반대의 입장.

결과론적으로 한국가스공사에 있어 이대성의 은퇴는 계약 미체결보다 옳은 선택이었다(임의해지는 시기상 불가능). 그러나 한국가스공사과 이대성의 관계는 계약 미체결로 마무리됐다. 결과적으로 한국가스공사는 이대성이 1년 만에 복귀할 수 있다는 경우의 수를 놓쳤고 그만큼 너무 믿었던 것이 이런 결과로 돌아왔다.

한국가스공사는 이대성에 대한 영입의향서를 제출하지 않았고 FA로 풀려 소속 선수도 아닌 그를 위해 해외 진출 관련 보도자료를 내기도 했다. 여기에는 이대성의 도전을 응원하는 목적도 있었으나 남은 9개 구단이 영입의향서를 내지 않도록 배려를 구한 것이기도 했다. 이대성에게 관심 있었던 복수의 구단이 있었기에 이런 방법을 선택한 것이다(이로 인해 몇몇 관계자는 FA 신분의 이대성에 대해 소속 구단도 아닌 한국가스공사가 왜 이렇게까지 하는지 모르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매일경제

이대성은 1년 전인 2023년 8월 미카와와 1년 계약을 맺은 후 공식 기자회견을 가졌다. 그리고 1년이 채 지나지도 않은 현재 다시 기자회견에 모습을 드러낸다. 다만 1년 전과는 너무도 다른 모습이 될 듯하다. 사진=KBL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대성이 2년이 아닌 1년 만에 KBL로 돌아오며 한국가스공사는 큰 충격을 받았다. 이대성이 KBL 규정을 어긴 건 아니지만 결국 제도적 허점을 이용, 한국가스공사와의 신뢰 관계를 무너뜨렸고 이는 당연히 비판, 비난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이어졌다.

심지어 한국가스공사는 이대성이 FA 공시 신청한 후 다음날인 6일 오전까지도 이 소식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다. 결국 최소한의 신뢰마저 지키지 못한 것이 문제의 핵심이다.

이대성의 기자회견은 매우 중요한 순간이 될 듯하다. 일방적으로 얻어맞고 있는 현 상황에서 과연 카운터 펀치를 날릴 수 있을지, 아니면 모든 문제를 인정하고 용서를 바랄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이대성은 1년 전인 2023년 8월 미카와와 1년 계약을 맺은 후 공식 기자회견을 가졌다. 그리고 1년이 채 지나지도 않은 현재 다시 기자회견에 모습을 드러낸다. 다만 1년 전과는 너무도 다른 모습이 될 듯하다.

매일경제

이례적으로 입단 기자회견까지 준비한 삼성이다. 이대성은 22일 오후 2시 KBL 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는다. 다만 청문회와 비슷한 분위기가 될 가능성이 높다. KBL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민준구 MK스포츠 기자

[ⓒ MK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