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올림픽 티켓 걸렸는데… 태국 축구장 왜 썰렁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타 플레이어 출전 안 하자 흥행 저조
일각선 “아시아 애국심 관람문화 원인”
서울신문

김학범 “호주와 4강전은 체력전” - 김학범 한국 축구 23세 이하 대표팀 감독이 아시아축구연맹(AFC) U23 챔피언십 준결승전을 하루 앞둔 21일 태국 방콕 라자망갈라 스타디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경기 승부처로 체력을 꼽고 있다. 왼쪽은 한국과 결승행을 다툴 호주의 그레이엄 아널드 감독. 이기는 팀은 도쿄올림픽 본선 진출을 확정한다.방콕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림픽 티켓이 걸린 국제대회다. 그런데 그라운드만 뜨겁다. 관중석은 썰렁하다. 태국에서 열리고 있는 아시아축구연맹(AFC) 23세 이하 챔피언십 이야기다.

과거 동남아 축구의 왕자로 군림했던 태국에서 축구는 인기 스포츠다. K리그 최초의 동남아시아 선수 피아퐁의 나라가 태국이다. 1897년 축구가 도입됐고 1916년에 축구협회가 만들어졌으며 1930년대에 축구장을 세웠을 만큼 축구 역사가 긴 편이다. 과거 한국이 자주 출전했던 국제대회 킹스컵도 열고 있다. 유럽의 빅리그는 물론 K리그 등 아시아권 프로리그까지 TV로 중계된다. 태국 면세점 업체 킹파워는 2010년 당시 2부리그의 레스터 시티를 인수해 프리미어리그 정상에 올려놓기도 했다. 물론 자국 프로리그도 인기가 있다.

그럼에도 이번 대회에서는 태국의 조별리그 경기에도 관중이 그다지 많지 않았다. 그러니 태국을 제외한 나라들의 경기는 마치 한국의 어느 조기축구 경기장처럼 썰렁한 모습이었다. 그나마 태국이 선전하며 관중 수를 조금씩 늘렸고 사우디아라비아와의 8강전에서 2만 5000명을 수용하는 탐마삿 스타디움이 만석을 이루기도 했다. 하지만 태국이 이날 경기에서 패해 4강 진출에 실패하는 바람에 그나마 있던 흥행 동력을 잃어버렸다.

올림픽 티켓이 걸려 있기는 하나 스타 플레이어가 출전하는 메이저 대회가 아니라는 점이 흥행 저조의 주된 이유로 꼽힌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축구 관람 문화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축구 선진국인 유럽의 경우 관중이 축구 자체를 즐기는 경향이 강해 자국팀 경기가 아니더라도 경기장을 찾는 반면 아시아권에서는 애국심이 관중의 경기장 방문을 추동하는 주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해 6월 폴란드에서 열린 국제축구연맹(FIFA) 20세 이하 월드컵에서는 유럽팀 대결이 아니더라도 상당수 관중이 경기장을 찾았다. 반면 지난해 12월 부산에서 열린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챔피언십에서는 한일전에 2만 9000명의 관중이 몰린 것을 빼고는 한국 대표팀 경기도 관중석이 썰렁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