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연기·노래·춤에 재담까지…만능 엔터테이너배우 시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일본 팬미팅에 참석한 박신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OCN 드라마 '터널'(2017)의 주인공 최진혁(32)이 지난 2일 일본 도쿄 요미우리홀에서 개최한 '최진혁 스페셜데이-터널' 행사에는 현지 팬 1000여 명이 모여 문전성시를 이뤘다. '터널'을 정식 수입한 일본 NBC 유니버설 주최로 열린 이번 팬미팅은 총 2회 진행됐으며 티켓 2000장이 전부 나갔다. 그의 소속사 지트리크리에이티브는 "지난해 11월 도쿄에서 1600여 명을 대상으로 팬미팅을 한 후 불과 7개월 만인데도 공항에 많은 팬들이 기다리고 있었다"고 말했다. 최진혁은 자신이 출연했던 '구가의서' 오리지널사운드트랙(OST) '잘 있나요' 외에도 히라이 겐의 '눈을 감고' 등 일본 노래까지 소화하며 가창력을 과시했다.

요즘 연예계는 만능 엔터테이너형 배우를 키우는 데 공을 들이는 기획사들이 늘고 있다. 연기 외에도 노래, 춤 등 다양한 퍼포먼스가 가능해 콘서트를 열 수 있는 '장근석형' 배우를 육성하는 것이다. 모 연예 기획사 관계자는 "송강호, 최민식 같은 대배우를 보유하고 있어도 정작 소속사가 가져갈 수 있는 수익은 크지 않다"며 "반면, 노래와 춤, 뛰어난 언변을 갖춘 배우는 투어 콘서트를 통해 기획사와 배우 모두 윈윈하는 모델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시아 프린스 '근짱'으로 통하는 장근석은 한때 일본에서 연 매출 400억원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영화 'GP506'(2007), 드라마 '광고천재 이태백'(2013)으로 유명한 배우 조현재(38)는 아시아 공연을 한번 열었다 하면 2000명씩 모객한다. 웰스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2003년 드라마 '러브레터' 성공 이후 일본 중심으로 국외 활동을 지속해왔다"며 "한국 배우 중 일본 내 인지도가 네 번째 정도 된다"고 소개했다. 배우 김강우와 한때 그룹 가디언으로 활동하기도 했던 조현재는 이후에도 OST 중심으로 음악 활동을 이어와 팬미팅에서 다양한 레퍼토리를 선보인다. 그는 현재까지 10회 넘는 일본 단독 팬미팅을 진행했으며 이르면 올 9월께 아시아 투어에 나선다.

매일경제

일본에서 열린 최진혁 팬미팅.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자 배우 중에선 최근 tvN '숲속의 작은집'에 출연했던 박신혜(28)의 활약이 돋보인다. 박신혜는 지난해 홍콩, 대만, 필리핀, 일본 도쿄를 도는 아시아 투어 '플라워 오브 엔젤(Flower of Angel)'을 성공리에 마쳤다. 그가 아시아 투어를 완료한 건 이번이 네 번째다. 그는 콘서트 도중 자신의 노래 '마이 디어(My Dear)' 외에도 주연작이었던 '피노키오' OST '사랑의 눈처럼' 등 여러 곡을 부른다. 또한, '닥터스'에서 극 중 '유혜정'이 입었던 의사 가운을 입고 '닥터유의 고민상담' 코너를 진행하고, 3단 도시락을 즉석으로 만들어 보이는 등 팬들에게 다채로운 이벤트를 선사한다. 그는 2013년 한국 여배우로는 처음으로 아시아 투어를 시작했다.

배우계 아이돌그룹 같은 팀도 있다. 서강준, 유일, 공명, 강태오, 이태환이 속해 있는 배우 그룹 서프라이즈가 대표적이다. 2013년 결성된 이들은 서울, 도쿄, 홍콩, 방콕을 잇는 아시아 투어 공연을 진행해왔다. 이들이 지난 2월 일본 도쿄 나가노 선플라자에서 개최한 올해 첫 국외 팬미팅에는 팬 2200여 명이 몰려들었다. 서프라이즈 소속사 판타지오는 지난해 이들의 동생 그룹 서프라이즈U를 데뷔시키기도 했다. 권도균, 송원석, 안효섭, 곽시양으로 구성된 배우 그룹 원오원도 유사한 케이스다. 또한 액터 프로듀서 나병준이 이끄는 스타디움이 남성 배우 10인조 그룹 '더 맨(The Man)' 오디션을 진행하자 한 달 만에 500명 넘는 지원자가 몰리기도 했다. 스타디움 측은 "전 판타지오 대표로서 배우그룹 서프라이즈를 성공시킨 바 있는 나병준 대표가 신인배우 연구개발(R&D) 시스템에 대한 강한 확신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창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