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강릉빙상장, 평창올림픽 폐막 후 경빙장 활용방안 제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사행성 논란으로 법안 통과 여부 미지수

연합뉴스

강원 '아이스 더비' 공청회 참석한 이정수
(서울=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14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동사모조직위원회 주최로 열린 '강원 아이스 더비 도입 공청회 및 프레스 콘퍼런스'에서 쇼트트랙 이정수(왼쪽 둘째)와 여러 나라 스케이트 연맹 관계자들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kane@yna.co.kr



연합뉴스

강원 '아이스 더비' 도입 공청회
(서울=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14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동사모조직위원회 주최로 열린 '강원 아이스 더비 도입 공청회 및 프레스 콘퍼런스'에서 여러 나라 스케이트 연맹 관계자들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2017.11.14 kane@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 2018 평창동계올림픽이 끝난 뒤 강릉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에서 베팅을 겸한 프로 빙상대회인 아이스더비(경빙)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아이스더비 인터내셔날은 14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공청회에서 빙상경기장 사후 활용방안으로 아이스더비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아이스더비는 220m의 아이스링크에서 스피드스케이팅과 쇼트트랙을 접목한 프로 빙상대회다. 경륜이나 경마처럼 관람객이 베팅할 수 있다.

아이스더비 인터내셔날 현도정 대표는 "아이스더비를 도입할 경우 연간 순수익 638억원, 연 세금 수입 1천575억원, 해외 온라인 베팅 수입 510억원 중계권·입장료 등 300억원 등 총 4천억원 수준의 직접 수입이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내에서 아이스더비를 추진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2011년 제주도에서 관련 사업을 추진했지만, 법안이 통과되지 않아 무산됐다.

연합뉴스

강원 '아이스 더비' 도입 공청회
(서울=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14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동사모조직위원회 주최로 열린 '강원 아이스 더비 도입 공청회 및 프레스 콘퍼런스'에서 여러 나라 스케이트 연맹 관계자들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kane@yna.co.kr



지난 2015년에도 평창올림픽 시설 사후방안으로 아이스더비 개최가 추진됐지만, 강릉지역 시민단체 등이 사행성이 짙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아이스더비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등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사행 심리가 생기고, 범죄 발생률이 높아지는 등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부정적인 견해도 있다.

법안 통과도 미지수다. 관계자는 "올해 안에 강원도민을 중심으로 관련 입법 청원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평창올림픽 경기가 열리는 총 12개 시설 중 2개 시설(정선 알파인 센터, 강릉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은 아직 사후 활용방안이 결정되지 않았다.

강원도는 강릉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을 워터 파크로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지만 지지부진하다.

지난 2월엔 국내 물류단지 조성 전문업체가 냉동 창고로 개조해 활용하고 싶다는 제안서를 보내기도 했다.

cycle@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