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기자들이 꼽은 신뢰도 1위 언론 JTBC … 디지털 전략 실천은 SBS·중앙일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자협회, 한길리서치에 의뢰 조사

기자들이 가장 신뢰하는 언론사와 가장 영향력 있다고 생각하는 언론사로 각각 JTBC가 꼽혔다. 한국기자협회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협회에 소속된 전국의 신문·방송기자 300명을 대상으로 전화 조사한 결과다. 기자협회의 조사에서 신뢰도와 영향력 조사에서 한 언론사가 1위로 꼽힌 것은 JTBC가 처음이다.

“소속사를 제외하고 가장 신뢰하는 언론 매체는 어디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30.3%가 JTBC라고 답했다. 다음으로는 한겨레(12.1%), KBS(6.0%), 중앙일보(4.2%), 한국일보(3.4%), 조선일보(3.3%) 순이었다. 2006년 이래 9년 연속 신뢰도 1위를 차지했던 한겨레는 올해 2위로 떨어졌다.

영향력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27.4%가 JTBC를 꼽았다. 이어 조선일보 17.8%, KBS 17.3%, 연합뉴스 3.3%, SBS 2.7%, 중앙일보 2.0%, 한겨레 1.8% 순이었다. JTBC의 영향력은 2014년 1.6%에서 2015년 4.2%, 2016년 11.0%로 꾸준히 상승했다. 조사를 총괄한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손석희 앵커 영입과 함께 JTBC의 신뢰도와 영향력이 차츰 오르다, 2016년 JTBC 태블릿PC 보도가 대통령 탄핵 결정으로 이어지면서 신뢰도와 영향력 면에서 동시에 1위를 차지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기자들은 디지털 전략을 가장 잘 실천하고 있는 언론사로 SBS(20.6%)를 꼽았다. 디지털 시장에서의 콘텐트 경쟁력 확보는 언론사들의 주 관심사다. 2위는 근소한 차이로 중앙일보가 꼽혔다. 응답자의 18.3%가 디지털 전략을 잘 실천하는 매체로 꼽았다. 이어 JTBC(13.5%), 조선일보(3.9%), YTN(3.4%), 동아일보·한겨레(2.6%) 순으로 나타났다. 신문으로는 중앙일보가 디지털 전환 면에서 압도적 평가를 받았다. 디지털 전략 실행의 걸림돌로는 응답자 중 35.6%가 ‘포털, SNS 등 외부 플랫폼 의존 심화’라고 답했다. ‘수익모델 부재(28.0%)’라고 답한 이도 적지 않았다. 다음으로는 ‘인력 부족 및 보상제도 부재(16.8%)’ ‘디지털 독자와의 소통 부족(9.9%)’ 순으로 나타났다.

노진호 기자 yesno@joongang.co.kr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포스트]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