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1 (화)

‘올림픽 외교’도 국가대표 양성 필요하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창금 기자의 무회전 킥]

이건희 IOC 위원 사퇴 스포츠 외교 한계

김운용 부위원장 등 후계자 키우지 않아

정권 차원서 후보자 싹 잘라내는 경우도

“정부 차원서 스포츠 외교관 전략 짜야”


한겨레

김운용 전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부위원장과 이건희 삼성 회장은 국제 스포츠 무대에서 거물로 활약했다. 하지만 후계자를 키우지 않았고 박용성 전 아이오시 위원도 마찬가지였다. 조양호 전 평창올림픽조직위원장은 아이오시 위원 문턱까지 갔으나 이번엔 정권이 그를 몰아냈다. 왼쪽부터 김운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제 스포츠계의 거물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직 사퇴로 한국 스포츠 외교 전략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유승민 아이오시 선수위원이 있지만, 경험과 네트워크 측면에서 국제 스포츠계에서 한국의 이익을 대변하기에는 한계가 많다.

아이오시 위원의 중량감·규모의 축소만이 문제가 아니다. 평창겨울올림픽 15개 종목 102개 경기는 7개의 종목별 국제연맹의 주관 아래 열린다. 표면적으로 한국은 신동빈 국제스키연맹(FIS) 집행위원, 김재열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집행위원, 김나미 국제바이애슬론연맹(IBU) 부회장, 정재호 국제루지연맹(FIL) 부회장 등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개최국의 입지를 활용해 진작에 국제봅슬레이스켈레톤연맹(IBSF)이나 세계컬링연맹(WCF) 등의 집행부로 진입을 시도하거나 각 분과위원회에 진출했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때 3명의 아이오시 위원을 보유했던 한국이 롤러코스터를 타며 극과 극을 오가는 이유는 ‘사람을 키우지 않는 풍토’ 때문이다. 김운용 전 아이오시 부위원장은 한국 스포츠 외교의 정점을 달렸지만, 후계자를 키우는 데는 인색했다. 박용성 전 아이오시 위원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후배들을 끌어주지 않으니 어느 순간 황무지가 펼쳐지고, 지속성이 없으니 단절 순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정권이 스포츠 외교 자산을 죽이는 경우도 있다. 조양호 전 평창조직위원장은 아이오시 위원 후보 문턱에 이르렀으나 지난 정권은 그를 내몰았다. 전명규 한체대 교수는 국제빙상연맹의 기술위원으로 추천만 하면 입성할 수 있었지만 김종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의 압력으로 출마조차 못했다. 윤강로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 원장은 “집행위원과 기술위원을 보유하면 올림픽에서 음으로 양으로 엄청난 이점이 있다. 우리 스스로 아군을 죽였다”고 했다. 국내 연맹의 수장이 “감히 네가?”라는 식으로 실력 있는 자원을 인정하지 않고, 또 회장의 권위에 눌려 아랫사람이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는 것도 문제다.

체육 전문가들은 국제 스포츠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노무현 정권이 거물급 김운용 부위원장에게 한번의 기회를 더 주지 않고, 단칼에 베어 사장시킨 것은 우매한 짓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 경기인은 “선수에만 국가대표가 있는 것이 아니다. 스포츠 외교관도 일종의 국가대표다. 스포츠 외교 국가대표는 정부의 지원과 전략에서 나온다. 우리 사회의 풍토도 한 사람의 역량과 자산을 소중히 여기는 쪽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imck@hani.co.kr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코로나19 기사 보기▶전세 대란 기사 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