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아시아경제 언론사 이미지

주진우 "인적 쇄신보다 개헌 저지선 고민해야…당 시스템 젊게 쇄신"

아시아경제 김성욱
원문보기

주진우 "인적 쇄신보다 개헌 저지선 고민해야…당 시스템 젊게 쇄신"

서울 / 11.9 °
국민의힘 당 대표 선거 출마한 주진우
"107석, 개헌 저지선 지킨 국민의 뜻"
"인적 쇄신 비현실적…시스템 고쳐야"
국민의힘 당 대표 선거에 출마한 주진우 의원이 당의 인적 쇄신에 대해 "지난 총선 때 국민의힘이 잘 못 해서 국민들이 소수 야당을 만들었지만, 반대로 개헌 저지선을 지켜준 것에 대한 의미도 있다"며 "의석수가 107석에 불과한 상황에 국민 눈높이에 맞춘다고 해서 인적 쇄신을 세게 하면 결국 분당으로 이어져 개헌 저지선이 무너진다"고 말했다. 주 의원은 28일 YTN 라디오 '신율의 뉴스정면승부' 인터뷰에서 "쇄신은 좋지만 개헌 저지선에 대한 치열한 고민이 있어야 한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국민의힘 당 대표 출마를 선언한 주진우 의원이 28일 국회에서 아시아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김현민 기자

국민의힘 당 대표 출마를 선언한 주진우 의원이 28일 국회에서 아시아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김현민 기자


주 의원은 "야당에 최소한의 견제와 대안 제시 능력은 살려놔야 한다. 일당으로만 흘러가게 하는 것은 국민 입장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며 "그 의미를 되새겨서 인적 쇄신이 현실적이지 않으니까 시스템의 쇄신을 주장하는 것"이라고 했다.

또 다른 당 대표 후보인 조경태 의원이 '혁신 후보 간 단일화가 필요하다'고 한 것에 대해서는 "조 의원은 '사십몇 명은 당을 출당해야 개혁이고, 그렇게 되는 게 오히려 낫다'라고 말하는데 그런 생각에는 도저히 동의하기가 어렵다"며 "결국 개혁이나 혁신은 그 자체가 목표가 아니라 당의 시스템을 잘 만들고 국민한테 월급 받으면서 야당의 기능을 해야 하지 않냐"고 말했다.

이어 "야당답게 여당의 문제점도 지적하고, 더 나은 대안도 제시하며 상호 균형을 맞춰가야 한다"며 "이런 생각이 아니라 '그냥 (의원) 숫자는 상관없다'라는 입장이라면 그런 상황에서의 단일화는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가 입당하면서 당내 논란이 지속되는 것에 대해서는 "(전 씨가) 일반 국민으로 활동할 때까지는 괜찮았는데, 그 이후 이분이 활동하고 발언하면 뉴스에 바로 나오는 상황이 돼지 않았냐"며 "저는 정치인의 반열에 왔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이어 "정치인으로서 발언하고 또 그 정치 세력과 연합할 것이냐의 문제가 제기되면서 저는 우리 당의 외연 확장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치적으로 당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며 "만약 당 지도부 입장에서 (전 씨의) 입당 사실을 알았다면 입당하는 것에 대해서 굉장히 신중히 승인했을 것 같다"고 했다.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이 24일 국회 소통관에서 국민의힘 당 대표 출마 선언을 하고 있다. 김현민 기자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이 24일 국회 소통관에서 국민의힘 당 대표 출마 선언을 하고 있다. 김현민 기자


앞서 주 의원은 28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시스템 쇄신을 위한 당헌·당규 개정을 약속하면서 "의총에서 투표를 의무화해 계파·패거리 정치를 타파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중진 의원들이 미리 결론 정하고, 몇몇 의원이 발언하고, 대충 박수로 추인하는 방식은 안 된다"며 "투표로 결론짓겠다. 초·재선이 분위기에 눌려 침묵하는 일 없도록 하겠다"고 했다.


그는 "중요 사안은 기명으로 투표해 책임정치를 구현하겠다. 탄핵안, 중요 당론 법안, 쇄신안은 기명 투표를 함으로써 어떤 의원이 찬성·반대했는지 국민과 당원들에게 알리겠다"며 "결론 없이 싸우기만 하는 의총은 없다. 자기 이름 걸고 결정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또 "의총에 원외 위원장·보좌진·당직자 대표를 일정 비율(30%)로 참여시키고, 발언권·투표권을 부여해 수평적 의사 결정 구조로 확장하겠다"며 "민생과 더 맞닿은 현장 의견이 가감 없이 전달될 것이다. 당의 시스템을 젊고 강하게 쇄신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