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엑스포츠뉴스 언론사 이미지

크래프톤 이민호 '배그' e스포츠 총괄 "차별화된 기억 드리고자 더 많이 도전할 것"[인터뷰]

엑스포츠뉴스
원문보기

크래프톤 이민호 '배그' e스포츠 총괄 "차별화된 기억 드리고자 더 많이 도전할 것"[인터뷰]

서울맑음 / 12.3 °


(엑스포츠뉴스 이정범 기자) 이민호 '배그' e스포츠 총괄이 'PNC' 현장에서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의 현재와 미래를 공유했다.

26일 크래프톤 이민호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 총괄(이하 이민호 총괄)은 서울 올림픽공원 핸드볼경기장에서 진행 중인 '펍지 네이션스 컵(PNC) 2025' 현장에서 미디어 인터뷰에 참여했다.

'PNC'에 대한 애정을 드러낸 이민호 총괄. 그는 "'PNC'는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가 소중하게 생각하는 국가대항전 IP다"라며, "본능을 자극하는 국가대항전의 잠재력을 믿고, 다년간 꾸준히 투자해 왔고, 앞으로도 지속해서 투자할 생각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올해는 참가 팀을 16개에서 24개로 확대하고, 대회 기간과 상금도 늘렸다"라며, "게임과 함께 e스포츠가 성장하는 것을 중요한 과제로 보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가 생각하는 'PNC'의 차별점은 무엇일까. 이 총괄은 "모든 프로 스포츠는 클럽과 함께 성장한다. 건강한 클럽 생태계가 있어야 오래 자생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국가대항전은 본질적으로 다른 레벨이다"라며, "(이것이) 월드컵 등이 대표적인 메가 스포츠로 자리 잡은 이유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참가팀 숫자와 관련해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 놓은 이민호 총괄. 그는 "24개 팀 확대는 팬과 내부 피드백의 결과다"라며, "앞으로 더 늘릴 수도, 유지할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올해는 유럽, 동남아 참가팀이 많지만, 중동 등 다양한 지역 확장도 적극적으로 살펴볼 생각이다"라고 덧붙였다.

이 총괄은 주요 국제대회(PGC 등)의 국내 개최 가능성도 언급했다. 그는 "크래프톤은 글로벌 기업이지만, 본질적으로 한국 기업이고 한국 팬 베이스가 크다"라며, "국제 대회를 한국에서 자주 여는 것도 중요한 목표 중 하나"라고 말했다.




6월 초 개최된 IOC e스포츠 포럼에 한국 게임사 중 유일하게 초청받은 크래프톤. 이민호 총괄은 "지금까지 IOC의 기조는 시뮬레이션이나 버추얼 스포츠를 e스포츠 종목으로 채택하는 것이었다"라며, "그런데 IOC 내부적으로도 이것이 적절치 않다는 인식이 생긴 것 같다"라고 말했다. e스포츠 도입을 고려한 이유가 젊은 세대 대상 흥행인데, 시청률 등 지표에서 반응이 좋지 않았고, 최초 목표에도 부합하지 않는다는 의견도 나왔다고.

이후 이민호 총괄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어 e스포츠 중에서도 슈팅 게임은 도입이 어렵지 않은가 하는 분위기가 있었지만, 최근에 변화의 흐름이 있다고 본다"라며, "초청을 받은 e스포츠 종목 가운데 '배틀그라운드',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오버워치'가 있었다. 슈팅 게임이 처음부터 논의 대상이 아니었다면 초대조차 안 했을 것이다"라고 전했다. 그날의 중요한 논의 주제도 택티컬 슈터 장르였다고.

이민호 총괄은 "게임성이나 흥행성은 유지를 하되 우려되는 부분을 적절하게 컨트롤할 수 있다면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모색하는 단계라고 봤다"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기를 사용하는 게임이기 때문에 단언하기는 어렵다"라고 말했다. 이어 "개인적으로는 IOC가 중요시하는 가치 가운데 하나인 상호 존중이 배틀로얄의 '생존'과 맞닿아 있다는 점을 어필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그가 생각하는"'배틀그라운드' e스포츠의 발전을 위해 해야할 것"은 무엇일까. 이민호 총괄은 "전체적인 서비스 자체로 보면 구색은 다 갖췄다고 본다. 대회 퀄리티, 선수 지원, 상금 등에서 모두 글로벌 레벨로 맞추고 있다"라고 자평했다.

이후 그는 "(다만) 이것을 엔터테인먼트 산업이라고 봤을 때, '그런 부분이 우수하다고 팬들이 저희를 봐 주시느냐', '소중한 시청자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느냐'는 다른 문제다"라고 진단했다.

'배그' e스포츠가 본질적으로 장점과 약점이 있다는 이 총괄. 그는 "배틀로얄 장르 자체가 규칙이 단순해 긴 설명이 필요 없고 쉽게 이해하기 좋다. 이제는 메이저 장르 가운데 하나로 자리 잡았다고 생각한다"라며, "그런데 한편으로는, 경기를 한눈에 보기 어렵고, 스타 선수 메이킹이 어렵다"라고 자평했다.


그는 "게임의 이용자 풀은 넓지만, (이용자들을) e스포츠 시청자로 유치하기 위해 게임-플랫폼-시청자를 연동하는 부분은 과제라고 본다"라며, "운영적 부분보다는 산업의 본질에 가까운 부분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게임이 성장하고 생명력을 유지하는 데 e스포츠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는 이민호 총괄. 그는 "회사 내부적으로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가 PUBG IP 프랜차이즈 조직으로 재정비됐다"라며, "여기에 개발 등 여러 조직이 통합되어 운영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게임의 인기가 반등하는 것이 쉽지 않은데, 여기에 개발, e스포츠, 퍼블리싱 등이 두루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자부심이 있다"라고 전했다.



그는 "올해 '배틀그라운드'가 출시 8주년을 맞았지만,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는 스포츠 산업, 콘텐츠 산업 측면에서는 아직 젊다고 본다"라며, "저희의 비즈니스는 '추억을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하기에, 차별화되는 기억을 드리는 e스포츠 종목이 되고자 한다. 그런 의미에서 국가대항전 등 남들이 시도하지 않는 것을 더 많이 도전하려고 한다"라고 밝혔다.

'배틀그라운드'가 배틀로얄이라는 장르를 대중적으로 창시한 장르-디파이닝(Genre-Defining) 게임인 것처럼, e스포츠에서도 최고가 되기를 바란다는 이민호 총괄. 그는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의 팬들은 좋았던 순간, 좋지 않았던 순간에도 함께 해주신 고마운 분들이다. 앞으로도 애정을 갖고 지켜봐 주시고 응원해 주시면 감사하겠다"라며, "게임이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는 만큼 팬들의 기대감도 크기에, 성장의 과실을 팬 그리고 선수들과 나누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다짐했다.

한편, 'PNC 2025'는 7월 23일부터 27일까지 서울 올림픽공원 핸드볼경기장에서 개최되고 있다. 대회 일정은 전년 3일에서 5일로 확대됐으며, 참가 국가는 기존 16개국에서 24개국으로 늘어났다. 지난 6월 진행된 파이널 스테이지 현장 관람 티켓의 얼리버드 예매분은 개시 직후 전량 매진되며 팬들의 높은 관심을 입증했다.

이번 대회는 공연으로도 관심을 끌고 있다. 7월 25일 금요일 오후 6시에 진행된 파이널 스테이지 1일 차 오프닝 세리머니에는 세계 정상급 비트박서이자 그룹 비트펠라 하우스의 멤버인 윙, 헬캣, 히스가 무대에 올랐다. 그리고 7월 27일 일요일 오후 6시에 진행되는 파이널 스테이지 3일 차 오프닝 세리머니에는 걸그룹 에스파가 참여한다. 특히, 에스파는 이번 무대에서 'PUBG x aespa' 테마곡 'Dark Arts'를 최초로 공개한다.

이번 대회의 기본 상금은 50만 달러다. 크래프톤은 승자 예측 이벤트 'Pick'em Challenge'를 통해 크라우드 펀딩 상금을 추가 조성하며, 상금은 최종 순위에 따라 차등 배분한다.

대회의 기반이 되는 게임이자 크래프톤의 대표 IP인 '배틀그라운드'는 3월 기준 최대 동시접속자 140만 명을 돌파하는 등 다시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다.

사진 = 크래프톤, 엑스포츠뉴스 이정범 기자

이정범 기자 leejb@xports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