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영상은 JTBC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기자]
< "보수 유튜버도 허하라" >
대통령실은 어제(24일) 뉴스공장, 고발뉴스, 취재편의점 등 세 곳을 출입 기자단에 포함시켰다고 밝혔죠.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대선 과정에서 이 세 매체 가운데 두 곳에 직접 출연하기도 했었는데요.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이들 매체를 두고 "친명 유튜버", "이 대통령을 찬양하는 친명 나팔수"라고 주장하면서 "보수 유튜버도 출입을 허용하라"고 요구했습니다.
[앵커]
대통령실은 "정치 성향을 고려한 건 아니다"라고 말하지 않았습니까?
[기자]
맞습니다. 안철수 의원은 세 매체에 맞대응하는 차원이라며 신의한수, 고성국TV, 펜앤드마이크를 예로 들었습니다. 이들 매체도 출입시키라고 요구한 건데요.
대통령실 보도지원비서관실은 매체 3곳을 선정한 기준을 밝힌 적 있습니다. 한국인터넷기자협회에 포함된 매체 가운데 등록 요건에 맞고, 출입을 신청한 곳이라고 설명했는데요.
한국인터넷기자협회에 직접 확인해보니 현재 90여 개 언론사가 가입돼 있는데 안철수 의원이 언급한 3곳 신의한수, 고성국TV, 펜앤드마이크는 모두 회원사가 아니라고 합니다.
[앵커]
출입 기자 첫 번째 조건부터 해당하지 않는 거네요.
[기자]
맞습니다. 그리고 또 문화체육관광부에 등록된 정기간행물인지에 대해서도 제가 확인해 봤는데요.
새롭게 대통령실 출입기자단에 포함된 이 3곳, 모두 인터넷신문으로 등록된 언론사입니다.
안철수 의원의 주장처럼 '단순 유튜버다, 이렇게 보기는 좀 어렵다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고요.
다만 이 안 의원이 출입을 허용하라고 요구한 3곳의 경우에는 '펜앤드마이크' 한 곳을 제외하고는 '신의한수', '고성국TV'는 문체부 정기간행물 등록관리시스템 언론사 정보 검색에서 확인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언론사로 등록이 된 곳이라기보다는 일종의 유튜브 채널이다 이렇게 볼 수 있는데요.
대통령실은 "취재력과 보도 실적 그리고 공익성 등을 갖추었다면, 보수성향 매체도 대통령실 출입기자단으로 신청을 할 수 있다" 이런 입장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최종혁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