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한길 '10만 당원 입당설'과 함께 입당
"혁신 필요"하다면서도 극우세력과 동행
송언석 "조치 방안 검토" 입장 선회
국민의힘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반대 집회를 주도했던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의 입당을 두고 극심한 혼선을 겪고 있다. 사진은 6·3 대선을 앞두고 전 씨가 지난 5월 21일 서울 동대문의 한 영화관을 찾아 영화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 관람을 마치고 나오는 모습. /서예원 기자  | 
[더팩트ㅣ국회=이하린 기자] 국민의힘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반대 집회를 주도했던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의 입당을 두고 극심한 혼선을 겪고 있다. 전 씨가 '10만 당원 입당설'을 주장하며 입당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다. '극우' 세력과 선을 긋지 못하는 모습에 당 혁신 과제가 중대한 갈림길에 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 18일 국민의힘 지도부는 전 씨의 입당을 두고 당내 비판이 빗발치자, 기존의 '어쩔 수 없다'는 입장에서 '조치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으로 선회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전 씨의 언행에 대한 확인과 함께, 당헌·당규에 따른 적절한 조치 방안에 대한 검토를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날(17일) 송 위원장이 "한 개인 입당에 호들갑 떨 것 없다"며 단순 '헤프닝'으로 여겼던 발언과는 대비되는 발언이다. 최수진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원내대책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이름(본명)이 달라서 상황 파악을 못 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앞서 전 씨는 지난달 8일 전유관이라는 실명으로 온라인 입당을 신청했고, 국민의힘 서울시당이 다음 날 이를 승인하면서 당원이 됐다. 그는 전날 한국일보 인터뷰에서 "10만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당원으로 가입돼 있다"며 "당 대표 선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음 달 22일 충북 청주 오스코에서 개최될 예정인 당 대표 선거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미치겠다는 의지라는 해석이 나온다.
'친윤계(친윤석열계)'가 아닌 '친길계(친전한길계)'가 당을 장악하는 것이 아니냐는 당 안팎의 우려가 확산했다. '계엄 반대·탄핵 찬성'을 주장하며 당내 혁신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비주류 인사들은 즉각 반발했다. 아울러 당의 변화를 위해선 윤 전 대통령과의 절연과 비상계엄에 대한 진정성 있는 사과 등의 조치가 필요한 시점임에도 당이 지지부진한 태도를 보이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안철수 의원은 KBS라디오에 출연해 전 씨 입당에 대해 "과거 입당을 거절한 사례 있다"며 "전한길 강사가 이렇게 우리 당의 당원으로 들어오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김용태 전 비상대책위원장도 전날 SNS를 통해 "불법계엄 단절이 보수 재건의 전제다. 그런데도 이를 호들갑으로 치부한다면 당의 미래는 없다"며 "자정 작용이 아닌 분골쇄신하는 혁신이 간절하다"고 강조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와 국민의힘 법제사법위원들이 18일 국회의장실 앞에서 무차별적 압수수색 영장남발 협조 관련 항의방문을 마치고 이동하고 있다. /남용희 기자  | 
정치권에서는 국민의힘이 '극우' 세력과의 거리를 두지 못하는 상황에서 갈등만 표면화되면서 국민의힘 혁신이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윤희숙 혁신위'가 출범하고 인적 쇄신의 과정이 진행 중임에도 당 주류의 벽에 부딪혀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국민의힘 혁신위원회는 이날 당원소환 위원회를 신설해 당원소환제를 실질화할 수 있는 인적 쇄신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아울러 조기 공천제도가 추진하기로 했다. 특정 지역구 의원이 당원 소환 요건에 해당할 경우, 전 당원 투표를 거쳐 그 지역구에 조기 공천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차기 총선 공천을 배제하는 방식이다.
최요한 정치평론가는 <더팩트>와의 통화에서 "당이 살아남으려면 12·3 비상계엄과 그 세력들과는 손을 끊어야 한다. 그리고 탄핵 반대했던 것에 국민들에게 사과해야 한다"며 "민주주의와 헌정질서를 뒤엎으려는 사람을 옹호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혁신위원회가 실질적인 인적 쇄신안을 내놓더라도 여전히 당내 주류인 TK(대구·경북) 의원들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고꾸라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최 평론가는 "송 위원장의 전 씨 조치 방안 검토 지시도 사실 실효성이 없다고 봐야 한다"며 "이번 전당대회에서 탄핵을 찬성하고 계엄 반대했던 인물이 당권을 쥐지 못하면 분당 가능성까지 있다"고 전망했다.
underwater@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