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한겨레 언론사 이미지

조현 “미국과 협의해 핵추진잠수함 보유·원자력협정 개정 검토”

한겨레
원문보기

조현 “미국과 협의해 핵추진잠수함 보유·원자력협정 개정 검토”

속보
'테러와의 전쟁' 주도 딕 체니 전 美부통령 별세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17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17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는 미국과 협의해 원자력추진잠수함 보유와 한-미원자력협정 개정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조 후보자는 17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인사 청문회에서 ‘미국에서 핵 확산 염려 없이 동료국이 핵잠수함(원자력 추진 잠수함)을 보유할 수 있는 준비가 되었다고 들었다’는 김건 국민의힘 의원의 말에 “필요에 따라 추진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생각한다. 내부에서 검토해서 미국과 협의해 억제력 강화 방안 중 하나로 검토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 답변에 “북한이 러시아로부터 핵 잠수함 도입을 원하고 있고, 핵 잠수함을 개발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우리가 거기에 대항하려면 핵 잠수함밖에 없다”고 말했다.



조 후보자는 한-미원자력협정 개정도 추진하겠다는 발언도 나왔다.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이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는 거래적 접근이 가능하다”며 “일정 부분 우리가 미국 입장을 수용하는 대신 한-미원자력협정 개정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가”라고 질의하자, 조 후보자는 “우리가 농축과 재처리를 추진한다면 군사적 측면이 아니라, 산업적, 환경 문제들을 들어 가지고 미국을 설득해서 그런 것도 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조 후보자는 이어 “2015년에 개정된 원자력 한-미원자력협정에 따르면 20% 미만 저농축우라늄의 경우는 한-미 합의 하에 가능한데, 한-미 간에 지적재산권 문제로 고위급 협의체가 가동되지 않았다”며 “이제 그 문제가 일단 해결됐기 때문에 기술 협력이라든지 특히 소형모듈원자로(SMR)에 들어가는 고순도 저농축 원료를 함께 만드는 것을 잘 추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민희 선임기자 minggu@hani.co.kr



▶▶[한겨레 후원하기] 시민과 함께 민주주의를!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