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17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는 미국과 협의해 원자력추진잠수함 보유와 한-미원자력협정 개정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조 후보자는 17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인사 청문회에서 ‘미국에서 핵 확산 염려 없이 동료국이 핵잠수함(원자력 추진 잠수함)을 보유할 수 있는 준비가 되었다고 들었다’는 김건 국민의힘 의원의 말에 “필요에 따라 추진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생각한다. 내부에서 검토해서 미국과 협의해 억제력 강화 방안 중 하나로 검토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 답변에 “북한이 러시아로부터 핵 잠수함 도입을 원하고 있고, 핵 잠수함을 개발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우리가 거기에 대항하려면 핵 잠수함밖에 없다”고 말했다.
조 후보자는 한-미원자력협정 개정도 추진하겠다는 발언도 나왔다.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이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는 거래적 접근이 가능하다”며 “일정 부분 우리가 미국 입장을 수용하는 대신 한-미원자력협정 개정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가”라고 질의하자, 조 후보자는 “우리가 농축과 재처리를 추진한다면 군사적 측면이 아니라, 산업적, 환경 문제들을 들어 가지고 미국을 설득해서 그런 것도 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조 후보자는 이어 “2015년에 개정된 원자력 한-미원자력협정에 따르면 20% 미만 저농축우라늄의 경우는 한-미 합의 하에 가능한데, 한-미 간에 지적재산권 문제로 고위급 협의체가 가동되지 않았다”며 “이제 그 문제가 일단 해결됐기 때문에 기술 협력이라든지 특히 소형모듈원자로(SMR)에 들어가는 고순도 저농축 원료를 함께 만드는 것을 잘 추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민희 선임기자 minggu@hani.co.kr
▶▶[한겨레 후원하기] 시민과 함께 민주주의를!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