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300]
![]() |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정청래·박찬대(오른쪽)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가 16일 서울 양천구 목동 SBS에서 열린 TV토론회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07.16. photo@newsis.com /사진= |
더불어민주당의 차기 대표를 뽑는 전당대회를 앞두고 열린 당 대표 후보 간 첫 토론회에서 정청래·박찬대 의원이 앞다퉈 이재명 대통령과의 정치적 인연을 강조하며 당정 간 '원팀'을 만들어 강력한 개혁을 이뤄내는 대표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정 의원은 야당과의 협치보다 강력한 개혁 드라이브를, 박 의원은 필요할 땐 야당과의 대화를 통해 협치와 통합을 이뤄야 한다며 다소 엇갈린 답변을 내놨다.
정청래·박찬대 의원은 지난 16일 오후 SBS 뉴스브리핑에서 진행된 당 대표 후보 토론회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박 의원은 "진정한 성찰과 반성이 없는, 무분별한 대화는 지양할 생각"이라면서도 "민생경제를 위한 테이블에 야당과 함께 하겠다. 통합적 행보에 발맞춰야 할 때는 맞춰야 한다"고 했다. 이어 "정 후보는 대화보다 싸움에 강한 이미지"라며 "야당 대표들이 대화를 거부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협치가 근본적으로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닌가"라고 물었다.
정 의원은 "법제사법위원장 때처럼 때로는 유연하게 때로는 강력하게 하면 된다고 생각한다"며 "대화는 해야 한다. 그러나 무리한 요구, 억지 주장은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뜻"이라고 답했다. 또 "저도 잘 웃는다"며 "그러나 스킨십과 웃음, 얼굴 표정이 협상력이 될 수는 없다"고도 했다.
정 의원은 박 의원을 향해 "협치 당 대표가 되겠다고 했는데 이번 전당대회 과정을 통해 드러난, 저랑 가장 다른 부분 같다"며 "협치와 안정, 통합과 같은 미사여구는 대통령이 쓸 단어이고 당은 궂은일과 험한 일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두 사람은 당원 주권을 강화하는 방안을 두고도 이견을 보였다. 정 의원은 당원을 위해 연말에 전 당원 대상 콘서트를 열겠다고 공약했는데 박 의원은 "일회성 인기를 끄는 이벤트 공약이나 각종 행사보다 당원이 실제 주인이 되도록 (당원이) 당 의사결정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길을 여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정 의원이 당 소속 의원들의 SNS(소셜미디어) 활동지수를 선거를 위한 공천 평가에 반영하겠다고 하자 박 의원은 "당원들이 정말 원하는 방향에 부합하는 것인지 의문"이라고도 했다.
![]() |
(서울=뉴스1) 국회사진기자단 = 정청래(왼쪽),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가 16일 서울 양천구 목동 SBS에서 TV토론회에 앞서 기념촬영을 마친 뒤 자리로 향하고 있다. 2025.7.16/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국회사진기자단 |
두 후보는 검찰개혁 등 주요 입법과제에 대해서는 유사한 답변을 내놨다. 두 사람은 검찰청을 폐지하고 공소청·중대범죄수사청을 만드는 검찰개혁 방향과 9월 말 검찰개혁 법안을 처리한 후 시행유예 기간을 1년으로 정하는 것에도 공감대를 모았다. 박 의원은 "결단만 내리면 8월에도 가능하다"고 했고 정 의원도 "저와 100% 일치된 의견"이라고 화답했다.
국민의힘을 향해 내란에 대한 책임을 따져 묻고 필요하면 정당해산을 추진할 수 있다는 데에도 의견을 모았다. 정 의원이 "국회도 정당해산 심판청구를 할 수 있도록 발의를 했다"고 하자 박 의원은 "저도 동의하고 국민적 눈높이에 맞춰서 함께 행동할 수 있다"고 말했다.
두 후보는 이재명 대통령과의 인연을 강조하며 '찐명(진짜 이재명 대통령 측근)' 경쟁을 펼치기도 했다. 박 의원이 "저는 이 대통령과 눈빛만 봐도 통하는 사이다. 이 대통령이 대화를 원할 때, 투쟁을 원할 때를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고 말하자 정 의원은 "저는 이 대통령 눈빛을 안 봐도 안다"고 맞받았다. 두 사람은 이재명 대통령에게 쓴소리를 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정 의원은 "성공을 위해서만 하겠다"고 했으며 박 의원은 "비공개로 하겠다"고 조건을 걸었다.
한편 민주당은 오는 19일 충청권을 시작으로 △20일 영남권 △26일 호남권 △27일 수도권 △8월 2일 서울·강원·제주 순으로 경선을 치를 예정이다. 최종 합동연설회는 8월 2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리며 이날 전체 경선 결과가 발표된다. 선거인단 반영 비율은 대의원단 15%, 권리당원 55%, 일반 국민 30%로 권리당원의 표심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당 대표 후보 토론회는 이날을 포함해 오는 23일, 29일까지 총 세 번 진행된다.
차현아 기자 chacha@mt.co.kr 김지은 기자 running7@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