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ㆍ텍스트ㆍ영상 복합 이해
한국어 특화 성능ㆍ활용성 겸비
"AI 생태계 공유ㆍ경쟁력 입증
기술 민주화 동시 실현" 평가
![]() |
이연수 NC AI 대표 |
이연수 NC AI 대표는 엔씨소프트 인공지능(AI) 발전사에 한 획을 그었다. 이 대표는 멀티모달 AI 모델 ‘바르코 비전2.0’ 4종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며 소버린(주권형) AI 실현을 위한 개방형 생태계 구축을 본격화 했다.
NC AI는 한국어 기반 멀티모달 AI 기술을 집약한 ‘바르코 비전(VARCO-VISION) 2.0’ 모델 4종을 오픈소스로 공개한다고 16일 밝혔다. NC AI가 국내 AI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하는 동시에 오픈소스 생태계를 통한 기술 민주화에도 기여 하며 기술 주권과 생태계 공유라는 두 축을 동시에 실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번에 공개된 모델은 △14B 대규모 모델 △1.7B 경량 모델 △OCR 특화 모델 △멀티모달 임베딩 모델 등 총 4종으로 이미지와 텍스트, 영상까지 복합적으로 이해하는 차세대 비전언어모델(VLM)로 구성됐다. NC AI는 파운데이션 모델을 기반부터 구축하는 프롬 스크래치 방식의 거대언어모델(LLM) 모델 개발 경험에 더해 멀티모달 모델 구축 능력까지 갖춘 독자 AI 기술력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특히 한국어 특화 성능과 글로벌 수준의 기술력을 동시에 확보함으로써 국내 AI 산업의 경쟁력을 크게 높였다는 평가다.
핵심 모델인 바르코-비전 2.0 14B는 파라미터 수 140억에 달하며 글로벌 오픈소스 AI인 InternVL3-14B, 알리바바의 Ovis2-16B, Qwen2.5-VL 7B를 능가하는 벤치마크 성능을 기록했다. NC AI 측은 영문 이미지 이해력, 한국어 OCR 인식 정확도, 복잡한 문서 구조 이해 등에서 글로벌 톱 수준의 결과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영상 검색을 위한 ‘바르코-비전-임베딩’ 모델도 주목받고 있다. 이 모델은 영상·텍스트·이미지 간 의미 유사도를 고차원 임베딩 공간에서 계산해, 사용자 질의에 따라 영상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특히 기존 이미지 검색 AI의 성능을 벡터 방식으로 ‘이식’해, 추가 학습 없이도 제로샷 영상 검색에서 최고 성능을 달성했다.
이 대표가 이끄는 NC AI는 올해 2월 엔씨소프트의 AI 연구개발 조직인 ‘NC 리서치’에서 분사해 설립된 인공지능 전문 자회사다. 엔씨소프트는 AI 기술 고도화와 사업 확장을 본격화하기 위해 독립 법인을 출범시켰으며 NC AI는 자체 개발한 거대언어모델 ‘바르코 LLM’을 비롯해 다양한 생성형 AI 기술을 게임 개발뿐 아니라 산업 전반에 적용해 나가고 있다. 특히 NC AI는 미디어, 게임, 패션 등 특정 산업군에 최적화된 ‘버티컬 AI’ 기술 개발에 주력하며 차별화된 전략을 추진 중이다.
NC AI는 이번 멀티모달 AI 모델 4종 공개를 통해 국내 AI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하는 동시에 오픈소스 생태계를 통한 기술 민주화에도 기여, 정부가 추진하는 소버린AI 강화에 힘을 더할 계획이다. 특히 한국어 특화 성능과 실용적 활용성을 겸비한 이들 모델은 국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AI 혁신을 가속화하는 촉매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대표는 “기술 고도화로 글로벌 트렌드가 텍스트만 처리하는 언어모델을 넘어 비전 모델을 함께 활용하는 비전언어모델로 전환되고 있다”며 “이번 4종 모델 공개를 통해 미디어와 게임, 패션 등 버티컬 AI로 기존 국내 멀티모달 AI를 선도하는 NC AI가 비전언어모델에서도 한국의 주권을 지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투데이/김나리 기자 (nari34@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