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JTBC 언론사 이미지

목 마른 토마토의 '절규'...토마토 비명소리에 나방이 피했다

JTBC
원문보기

목 마른 토마토의 '절규'...토마토 비명소리에 나방이 피했다

속보
코스피 상승 출발해 4,150 돌파...또 사상 최고치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비명을 지른다는 연구결과에 더해 이런 소리에 곤충이 반응한다는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이스라엘 텔아비브대 연구진은 토마토가 물이 부족해지면 소리를 내고 이 소리를 들은 암컷 나방은 해당 토마토에 알을 낳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물이 부족해진 식물들은 40~80㎑의 고주파 소리를 내는데 암컷 나방이 소리를 듣고 해당 식물의 건강 상태를 파악한 겁니다.

비명을 지르는 식물 대신 건강한 식물에 알을 낳아 깨어난 애벌레가 신선한 이파리를 먹게 하기 위해섭니다.

[리아 셀처/텔아비브대 생명과학부 박사]

"이제 우리는 그들이 이것이 스트레스인지 이해하는지 보고 싶었습니다. 죽어가는 식물 주변에 알을 낳고 싶어 하지 않거든요. 건강한 식물 주변에 알을 낳고 싶어 하니까요.


이전에도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을 때 특정한 소리를 낸다는 연구 결과는 있었지만, 동물이 그 소리를 듣고 반응하는 것을 확인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스트레스를 받는 환경에서 식물들은 시간당 30~50회 소리를 내는데 이른바 식물의 비명으로 불립니다.

고주파 소리인 만큼 사람이 들을 수는 없지만 변환을 거치면 에어캡이 터질 때와 비슷한 뽁뽁 소리와 비슷합니다.


다만 해당 소리가 식물이 의사소통을 위해 의도적으로 내는 것이라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연구진은 식물과 동물이 소리를 매개로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진화해왔을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해당 연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릴라흐 하다니/텔아비브대 생명과학부 박사]


"우리는 이것이 시작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동물이 다양한 식물에 반응할 수 있고, 많은 동물이 식물과 상호작용을 합니다. 초식동물이나 과일을 먹는 동물의 수분 매개자, 때로는 초식동물의 포식자 등, 이 모든 동물이 식물의 소리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한주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