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뉴스테이지 언론사 이미지

'부산시립교향악단 독일 순회공연 순조로운 출발 알려

뉴스테이지
원문보기

'부산시립교향악단 독일 순회공연 순조로운 출발 알려

서울맑음 / 9.0 °
[뉴스테이지]

부산시립교향악단의 독일 순회공연은 무직페스트 베를린과 뮌헨 BR 무지카비바, 부산광역시, 재단법인 부산문화회관, 주독일한국문화원의 주최, 온아티스트의 주관으로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부산은행의 후원을 받아 진행된다.

2025년 부산시립교향악단은 무직페스트 베를린(Musikfest Berlin)과 뮌헨 BR 무지카 비바(Musica Viva) 두 권위 있는 독일 현대음악 축제에 동시에 초청됐다. 먼저, 2005년 무직페스트 베를린 개편 이후 처음으로 '베를린 필하모니 메인 오디토리움'에서 열리는 폐막작 무대에 오르게 된 최초의 동양 오케스트라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를 갖는다. 또한 두 페스티벌에 동시에 초청된 최초의 사례로, 한국 교향악단의 국제적 위상을 새롭게 각인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차재근 부산문화회관 대표이사는 "부산시립교향악단이 60년 넘는 전통을 자랑하는 저명한 음악 축제인 무직페스트 베를린에 초청되어 베를린 필하모니 메인 오디토리움에 서는 아시아 최초의 교향악단이라는 것이 상당히 의미 있고 부산시립교향악단이 세계적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라는 말을 전했다.

무직페스트 베를린과 BR 무지카 비바의 예술감독인 빈리히 호프는 유럽의 저명한 작곡가인 박-파안 영희(이하 박영희)의 탄생 80주년을 기념하여 그의 작품 연주를 위해 한국 교향악단을 찾는 과정에서 부산시향을 주목하게 됐다.

부산시립교향악단의 베를린 공연은 녹화를 거친 후 독일 공영 방송을 통해 독일 전역에 방영될 예정이다. 부산시립교향악단은 물론이고, 한국의 교향악단, 더 나아가 아시아 교향악단의 연주가 유럽의 방송국 전파를 타고 방영된다는 것에 큰 의미를 가진다.

이번 독일 초청 공연의 핵심 레퍼토리인 박영희 작곡가의 작품을 준비하다. 홍석원 부산시립교향악단 예술감독은 "한국 작곡가의 곡은 분석 이전에, 피부로 와닿는다" 라고 소감을 밝혔다. 단순히 악보를 해석하는 기술적 접근을 넘어, 작품의 정서와 시대, 작곡가의 내면에 공감하려는 태도를 보여주는 말이다. 한국적 정서와 현대음악의 긴장을 동시에 담아내는 연주를 준비하고 있으며, 예술적 언어로서의 공명을 이루는 자리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무직페스트 베를린은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상주 공연장인 베를린 필하모니에서 매년 펼쳐지는 대규모 음악제로 고전부터 현대에 이르는 다양한 시대의 음악을 선보이는 세계적인 페스티벌이다. 다가오는 8월 30일(토)부터 9월 23일(화)까지 이어지는 페스티벌 기간 중 부산시립교향악단은 홍석원 예술감독의 지휘로 폐막 공연인 9월 23일(화)에 무대에 오른다.

무직페스트 베를린은 베를리너 페스트슈필레(Berliner Festspiele)와 베를린 필하모닉 재단(Berliner Philharmoniker Foundation)이 공동 주최하는 페스티벌로 올해는 70명 내외의 작곡가들의 120곡 이상을 26개의 예술 단체, 44명의 협연자가 연주한다.

부산시립교향악단은 재독 작곡가 박영희의 '소리', '여인아, 왜 우느냐? 누구를 찾느냐?'를 시작으로 피아니스트 벤 킴과 함께 라벨의 '왼손을 위한 피아노 협주곡'을 연주한다. 뒤이어 메시앙의 '승천, 4개의 교향적 명상곡'을 연주한 뒤 시벨리우스의 '교향곡 제7번'을 연주하며 무직페스트 베를린 2025의 대미를 장식한다.

박영희의 '소리'는 한국의 전통 민속음악 중 농민들의 음악인 농악과 상여 행렬에서 연주되는 '향두가'에 영향받은 곡으로, 전라남도 지역에서 채록된 녹음 자료를 바탕으로 작곡가가 자신의 예술성을 발휘한 작품이다. 박영희의 또 다른 작품인 '여인아, 왜 우느냐? 누구를 찾느냐?'는 성경 속 예수가 막달라 마리아에게 건넨 말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된 곡으로, 슬픔과 상실 속에서 누군가를 찾으며 눈물 흘리는 인간에게 전하는 깊은 위로와 그 위로를 통해 회복되는 내면의 힘을 표현한다. 라벨의 '왼손을 위한 피아노 협주곡'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오른팔을 잃은 피아니스트 파울 비트겐슈타인을 위해 작곡된 작품이다. 이 곡은 다양한 왼손 연주 기법을 선보이며, 화려한 연주를 가능하게 하는 곡이다. 시벨리우스의 '교향곡 제7번'은 단일 악장으로 구성된 독특한 형식을 지닌 작품으로, 그의 마지막 교향곡이다.

사진 제공_부산문화회관<저작권자 Copyright ⓒ 뉴스테이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