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통일부' 이름을 '한반도부'로 바꿀 필요가 있단 의견을 내놨습니다.
북한과의 대화를 재개하겠단 의지를 내비친 건데, '북한이 주적이냐'는 질문엔,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신재웅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북한은 2023년 말 남북관계를 '적대적인 두 국가 관계'로 규정하고 도로와 연락망까지 모두 차단했습니다.
정동영 후보자는 북한이 거부감을 보이는 '통일부'의 명칭을 바꿔 남북 간 소통을 재개하자는 의지를 거듭 강조했습니다.
[정동영/통일부 장관 후보자]
"이재명 정부는 새로운 시작 새로운 출발을 해야 합니다. 그런 차원에서 통일부 명칭을 검토하는 것도 필요하다."
'한반도부'라는 구체적인 대안도 거론했습니다.
지난 정부에서 역할을 대폭 축소한 '통일부'의 기능과 위상을 정상화하겠다는 뜻도 담긴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론'은 "강대강의 산물"이라며 "지난 정부에서 '주적'과 '선제타격'을 얘기한 데 대한 북한의 대응"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주적'이라는 의견에는 "동의하지 않는다"며 "위협"이라고 했습니다.
[정동영/통일부 장관 후보자]
"(북한이 미사일을) 쏠 필요가 없는 상황을 만들어 가는 것이 우리 정부가 할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충분히 만들 수 있습니다."
북한과의 대화를 위해 '통일'보다는 '평화'를 내세운다는 구상인데, 헌법이 규정한 '통일'을 포기하는 것처럼 비춰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양무진/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
"평화 통일이라는 우리의 헌법 가치를 존중하고 평화 통일에 대한 우리의 의지를 국제 사회에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정부도 당장 이름부터 바꾸기 보단 사회적 합의를 거쳐 추진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 후보자는 "북미정상회담이 이뤄지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는 게 개인적 생각"이라며, 다만 북한이 요구해 온 한미군사훈련 연기는 "국가안전보장회의 등을 통해 논의해야 할 사안"이라고 답했습니다.
MBC뉴스 신재웅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신재웅 기자(voice@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