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외무부 “정치적 비방” 반발…이란도 ‘사실무근’ 주장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현지시각 10일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에서 열린 교육 문제 회의를 주재하는 모습. [로이터통신]  | 
[헤럴드경제=정주원 기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동맹국인 이란에 대해 우라늄 농축을 전면 중단하는 조건으로 미국과의 핵 합의 재개를 모색하라고 권고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에 대해 이란과 러시아 양측은 즉각 부인하며 외교적 파장이 일고 있다.
미국 온라인 매체 악시오스는 현지시각 12일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러시아가 최근 몇 주 동안 이란에 ‘우라늄 농축제로’를 통해 미국과의 핵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반복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악시오스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최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의 통화에서도 이 같은 입장을 밝히고, 이스라엘 정부에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보도 내용이 사실이라면 이란 핵 개발의 핵심 파트너로 알려진 러시아가 민감한 ‘우라늄 농축’ 문제에서 미국의 입장을 일정 부분 수용한 셈이어서, 국제사회는 이에 주목하고 있다.
러시아는 이란이 농축을 포기할 경우 고농축 우라늄 제거 작업을 지원하고, 발전용 3.67% 농축 우라늄 및 연구용 20% 농축 우라늄을 제한적으로 공급하겠다는 입장이라고 악시오스는 전했다.
하지만 이 같은 내용에 대해 이란과 러시아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란 반관영 타스님 통신은 푸틴 대통령이 해당 제안을 전달한 사실이 없다고 보도했으며, 러시아 외무부도 정치적 비방 선전에 불과하다며 악시오스 보도를 일축했다.
러시아 외무부는 “누가 이 같은 보도를 조장했는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이란 핵 프로그램을 둘러싼 긴장을 고조시키려는 의도”라며 “국제 언론이 공식 정보를 바탕으로 보도하고 허위정보 확산을 자제하길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2015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재임 시절 체결된 이란 핵 합의(JCPOA)는 이란의 핵연료 재처리 및 농축 활동을 제한했으나, 전면 봉쇄하지는 않았다. 이후 2018년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일방적으로 탈퇴하고 대이란 제재를 복원했으며, 최근에는 이란 핵시설에 대한 미군의 공습까지 이어졌다.
현재 미국의 스티븐 위트코프 중동특사와 이란 압바스 아락치 외무장관은 핵 협상 재개를 논의하기 위해 물밑 대화를 이어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