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으로 뜨거운 서울 - 폭염이 이어지고 있는 9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 모습을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모습. 온도가 높은 곳은 붉게, 낮은 곳은 푸르게 표시돼 있다. 2025.7.9 연합뉴스 |
최고 섭씨 40도를 넘나드는 극한 폭염으로 온열질환자가 속출하는 가운데, 여름철 자외선으로 인한 ‘눈 건강’ 우려도 커지고 있다.
최근 전국 곳곳의 한낮 자외선지수는 ‘매우 높음’(8 이상 11 미만)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 정도의 자외선은 피부는 물론 눈에도 손상을 입힌다. 특히 ‘각막 화상(광각막염)’ 위험이 크다.
정준규 강동경희대병원 안과 교수는 “자외선은 백내장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각막(눈의 검은자 부위 표면)은 외부에 노출된 조직으로, 강한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각막 화상이 발생할 수 있다”라고 경고했다.
광각막염, 일명 각막 화상은 대개 6~12시간 후부터 굵은 모래가 굴러다니는 듯한 통증이나 이물감, 충혈, 눈물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대부분 24~72시간 이내에 회복되지만, 증상이 악화하면 2차 감염 예방 차원에서 항생제 안약, 진통제 등을 처방받아야 한다.
폭염이 이어지고 있는 9일 서울 성동구 서울숲에서 한 시민이 양산을 쓰고 산책을 하고 있다. 2025.7.9 뉴스1 |
다만 각막 화상은 충분히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자외선지수가 강한 시간대 야외 활동은 피하는 게 좋다.
특히 오전 10시~오후 3시 사이는 고위험 시간대라 외출을 삼가야 한다. 자외선 반사광만으로도 각막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 교수는 “여름철 바닷가, 캠핑장, 고산지대처럼 자외선 반사가 심한 환경에서는 각막 손상이 발생할 수 있어 자외선을 차단하거나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조언했다.
외출이 필요한 경우에는 선글라스나 양산, 모자를 챙겨 최대한 자외선을 피할 필요가 있다.
선글라스는 자외선 차단율이 99%인 ‘UV400’ 등급, KC 인증 제품을 착용해야 한다.
진한 색 렌즈에 UV 차단 기능이 없는 선글라스는 오히려 동공 확장으로 자외선 노출이 증가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권윤희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