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군 방위비 인상을 압박하고 나섰죠.
이런 가운데 주한미군을 현재의 3분의 1인
1만 명 수준으로 감축해야 한다는 미국 내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다음 달 미군의 새 국방전략 발표를 앞둔 시점이어서 파장이 예상됩니다.
유재명 월드리포터입니다.
다음 달 미군의 새 국방전략 발표를 앞둔 시점이어서 파장이 예상됩니다.
유재명 월드리포터입니다.
【기자】
미국의 보수 싱크탱크인 '국방 우선순위'가 현재 2만8천500명인 주한미군을 1만 명 수준으로 줄여야 한다는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보고서는 미국 국방장관의 전 수석 고문이었던 댄 콜드웰이 공동 저자로 참여했습니다.
콜드웰은 미군기지 방어 임무와 무관한 지상군과 전투 병력을 철수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순환배치된 전투여단과 주한미군 2사단 대부분 그리고 공군 전력 중 전투기 2개 대대와 항공지원 부대 등을 거론했습니다.
주한미군 감축 이유로는 한국이 역내 다른 지역 분쟁에서 미군 기지 제공에 소극적이라는 점을 들었습니다.
타이완 해협 등 한반도 외 지역에서 분쟁이 발생할 경우 미국이 주한미군 기지를 자유롭게 활용하는 데 한국이 반대할 것이라는 주장입니다.
또, 한국이 재래식 전력에서 북한보다 우위에 있기 때문에 자체 방어가 가능하다는 점도 꼽았습니다.
그러면서, 한국이 안보를 스스로 책임져야 하는 데, 전투지원 역량을 미국에 너무 의존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이는 동맹국들이 자국 방위에 더 큰 책임을 져야 한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인식과도 맥을 같이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엄청난 규모입니다. 도시 하나를 가진 것과 같습니다. 그들에게는 엄청난 돈이고, 우리에게는 엄청난 손실입니다. ]
미국은 현재 전 세계 주둔한 미군 병력을 새롭게 배치하는 방안을 마련 중에 있습니다.
다음 달 발표할 예정인데, 이 보고서가 영향을 줄지는 미지수입니다.
이런 가운데 케인 미국 합참의장이 오늘 방한했습니다.
주한미군 감축 등을 논의할지 주목됩니다.
월드뉴스 유재명입니다.
<구성 : 김상냥 / 영상편집 : 장상진>
[유재명]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