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8일 도쿄에서 열린 미국 관세 관련 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시각) 한국에 방위비 인상을 공개 압박하면서, 전날 ‘관세 서한’ 첫 표적으로 함께 꼽혔던 일본에서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9일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주한미군 주둔 비용 증액을 요구했다고 전하면서,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협상에 안보 문제를 엮는 자세를 선명하게 한 것”, “일본에도 같은 압력을 강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여러차례 미-일 안보조약이 일본에 “일방적”으로 유리하다며 불만을 표시했다. “우리는 그들을 방어하기 위해 수천억달러를 지불했지만 그들은 아무것도 지불하지 않았다”(4월10일)는 취지의 발언도 여러번 했다. 8일 한국을 향해 한 말과 다르지 않다.
방위비 지출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1%대에 머물렀던 일본 정부는 2022년 방위비를 포함한 안보 관련 예산을 2027년까지 2%로 끌어올린다는 방침을 세웠다. 일본의 올해 방위비 예산은 8조6691억엔(약 81조원)에 이른다. 하지만 미국은 불충분하다며 목표를 3~3.5%로 올리라는 입장이다. 지난 3월 초 엘브리지 콜비 미국 국방부 정책차관이 상원에 ‘일본 방위비를 국내총생산 대비 3%로 끌어올려야 한다’는 답변을 제출한 바 있다. 이후 미국 쪽 요구가 구체적으로 공개되지 않았지만, 파이낸셜타임스는 지난달 20일 트럼프 행정부가 일본에 방위 지출을 3.5%로 증액할 것을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일본 쪽 반발로 양국 일-미 외교·국방장관(2+2) 회의가 무산됐다고 전했다.
가장 최근에는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이 1일 미국 워싱턴에서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 회담한 뒤 연 기자회견에서 “미국 쪽에서 방위력 강화의 중요성에 대해 제기가 있었다”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금액 관련 이야기는 없었다고 했다. 이날 이와야 외무상의 말처럼 일본 정부는 ‘방위비 증액은 일본이 판단해 할 것’이라는 주장을 고수하고 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들은 지난달 22일 트럼프 행정부의 요구대로 2035년까지 국내총생산의 5%를 국방비 지출에 쓰기로 합의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런 나토의 사례를 들며 아시아 등 동맹국에도 동일한 5% 기준이 적용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한겨레 후원하기] 시민과 함께 민주주의를!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