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5월 표류된 北 주민 6명, 오전 9시께 송환
북측 경비정과 예인용 추정 어선도 마중 나와
정부 "관계 개선 계기로 생각 안 해"…'인도주의' 강조
북측 경비정과 예인용 추정 어선도 마중 나와
정부 "관계 개선 계기로 생각 안 해"…'인도주의' 강조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우리 정부가 지난 3~5월 사이 북한에서 목선을 타고 떠내려온 주민 6명을 9일 오전 동해상으로 돌려보냈다. 우리 측의 송환 통보에 응답하지 않던 북한도 인계 시점에 맞춰 동해상에 나타났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북한 주민 전원의 동의 아래 총 6명을 송환했다”며 “오전 8시56분에 북한 주민의 선박(목선)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갔다”고 말했다.
통일부에 따르면 해군·해경이 북한 목선을 NLL 근처까지 이동시켰고, 이후 목선은 오전 8시 56분에 NLL을 넘어 북측으로 운항했다. 해당 목선은 9시 24분에 NLL 북측에 대기하고 있던 예인용으로 추정되는 어선을 만나 함께 이동했다. 당국자는 “송환 시점에 북한 경비정과 견인용으로 추정되는 큰 배가 인계지점에 나와 있었다”며 “견인하지 않고 북측으로 이동했다”고 설명했다.
![]() |
정부가 동·서해상에서 표류하다 남측으로 내려와 체류하던 북한 주민 6명을 9일 송환했다. 북한으로 자력 이동중인 북한 주민들의 모습[통일부 제공] |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북한 주민 전원의 동의 아래 총 6명을 송환했다”며 “오전 8시56분에 북한 주민의 선박(목선)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갔다”고 말했다.
통일부에 따르면 해군·해경이 북한 목선을 NLL 근처까지 이동시켰고, 이후 목선은 오전 8시 56분에 NLL을 넘어 북측으로 운항했다. 해당 목선은 9시 24분에 NLL 북측에 대기하고 있던 예인용으로 추정되는 어선을 만나 함께 이동했다. 당국자는 “송환 시점에 북한 경비정과 견인용으로 추정되는 큰 배가 인계지점에 나와 있었다”며 “견인하지 않고 북측으로 이동했다”고 설명했다.
통일부는 지난주와 이번 주 두 차례 정도 유엔군사령부를 통해 동해로 북한 주민 6명을 돌려 보낼 것이라고 북측에 통보했다. 당시 북측은 이 메시지를 들었지만 구체적인 응답은 하지 않았다. 유엔사와 북한군은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에 설치된 직통전화인 일명 ‘핑크폰’으로 소통한다.
앞서 지난 3월 서해 NLL 이남에서 북한 주민 2명이, 5월 동해 NLL 이남에서 북한 주민 4명이 각각 구조된 바 있다. 모두 30~40대 남성 어민으로 이들은 북한으로 되돌아가겠다는 확실한 입장을 밝혀왔다.
서해상에서 발견돼 구조된 선박은 고장이 나 운항 자체가 불가능한 상태라 이들은 동해상에서 구조된 선박을 함께 타고 자력으로 귀환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번 송환은 ‘인도주의적 차원’이란 점을 강조하며 “귀환에 대한 북한 주민의 자유의사를 여러 차례 확인하고, 관계기관과 협력해 송환 전까지 북한 주민을 안전하게 보호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 사안은 기본적으로 주민들의 자유의사에 따른 귀환이기 때문에 이 사안으로 남북관계를 개선한다는 생각은 하고 있지 않다”라고 답했다. 이번 송환은 당연한 조치이며, 정치적으로 활용할 의사는 없다는 것을 북한 측에 부각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다만, 이재명 대통령이 임기를 시작한 직후 대북 전단 살포나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을 지시했고, 북한 역시 이에 호응해 대남방송을 중단한 바 있다. 이어 이번 송환과 관련해 북한이 별 다른 응답을 하지 않으면서도 경비정을 보내면서 인계에 부응한 만큼, 남북 관계가 해빙 물꼬를 틀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송환은 이재명 정부의 대북 유화책과 연계돼 북한의 ‘적대적 두국가’론 속에서 대화 가능성을 탐색하는 수단이었다”며 “북한이 경비정과 배를 동원해 신병 인계를 수용한 점은 남북 간 제한적 소통의 신호로 해석해도 무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