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서해와 동해에서 표류하다 우리 측에 구조된 북한 주민 6명을 오늘(9일) 오전 북한으로 돌려보냈습니다.
이들이 타고 온 목선에 태워 해상으로 송환했는데요.
통일부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들어보겠습니다.
박수주 기자.
[기자]
네, 정부가 지난 3월 서해에서 표류하다 구조된 북한 주민 2명, 그리고 5월 동해에서 구조된 또 다른 4명 등 6명을 모두 북한으로 돌려보냈습니다.
통일부는 오늘 오전 8시 56분쯤 이들이 동해에서 구조된 북한 주민들이 타고 왔던 목선을 타고 동해 북방한계선, NLL을 넘어갔다고 밝혔습니다.
NLL 이북 해상에서부터는 북한 주민들이 자력으로 배를 몰고 올라갔고, 9시 24분쯤 미리 인계 지점에 나와 있던 북한 경비정과 북측 어선을 만나 북측으로 이동하는 등 안전하게 송환이 이뤄졌다는 게 통일부 설명입니다.
오늘 송환한 북한 주민 6명은 30대에서 40대에 이르는 남성 어민으로, 지난 3월 서해와 동해에서 각각 표류하다 구조됐습니다.
이들 모두 부인과 자녀가 북한에 있는 상태로, 구조 직후 관계기관 조사에서 북한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의사를 명확히 밝혀왔다고 통일부는 전했습니다.
서해상에서 구조된 2명이 타고 온 선박은 고장이 나 운항이 불가능한 상태여서 주민 6명 전원의 동의 아래 동해 구조 선박으로 함께 송환했다고, 통일부는 부연했습니다.
남북 연락 채널이 단절된 상황 속에서 이들의 송환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취임 초 국무회의에서 북한 주민 송환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한 뒤 급물살을 탄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정부는 유엔군사령부를 통해 주민 송환 의사를 북한에 전달하거나 언론 발표 등을 통해 밝혔지만, 북한으로부터 아무런 응답을 받지 못했다고 밝힌 바 있는데요.
이후 정부는 지난주부터 북측에 주민들의 상태와 귀순 의사를 유엔사를 통해 주 1~2회에 걸쳐 지속적으로 알렸고, 송환 날짜와 장소를 통보했습니다.
북한은 우리 정부의 송환 계획에 대해서도 명확히 답하지는 않았지만, 오늘 미리 인계 지점에 나와 대기하고 있었습니다.
정부는 남북 연락 채널이 완전히 단절됐던 2017년 5월에도 이번과 같은 방법으로 동해에서 구조한 북한 어민 6명을 송환한 적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통일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영상편집 김도이]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박수주(sooju@yna.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