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디지털투데이 언론사 이미지

"명확한 보안 AI 가이드 있어야…정보보호 투자 확대 필요"

디지털투데이
원문보기

"명확한 보안 AI 가이드 있어야…정보보호 투자 확대 필요"

속보
李대통령 "국정운영 철학·비전 중심에 언제나 국민 둘 것"
[이진호 기자]
8일 서울 송파구 정보보호산업협회에서 정보보호기업 간담회가 개최됐다. [사진: 과기정통부]

8일 서울 송파구 정보보호산업협회에서 정보보호기업 간담회가 개최됐다. [사진: 과기정통부]


[디지털투데이 이진호 기자] AI를 바탕으로 한 보안 솔루션을 위한 명확한 가이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솔루션에 적용되는 AI 범위를 구체적으로 정하고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신뢰를 높이고 시장을 확산하자는 제언이다.

정일옥 이글루코퍼레이션 실장은 8일 서울 송파구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7년간 AI를 솔루션에 적용하면서 느낀 건 AI 제품에 대한 가이드가 부족하다는 것"이라며 "어느 수준까지 적용돼야 하는지 불분명한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현재 이글루코퍼레이션을 비롯해 다수의 기업이 AI를 접목한 보안 솔루션을 개발, 출시하고 있다. 하지만 보안 AI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어 어느 정도 수준까지 적용이 됐고, 안정성은 어느 정도인지 혼란이 있다는 게 정일옥 실장의 말이다. 이에 AI 보안 기술에 대한 별도 인증 체계를 만드는 등 기업과 수요자들이 명확히 알 수 있는 제도가 필요다고 정 실장은 제언했다.

김대환 소만사 대표는 "최근 만난 CISO들에게 도저히 사람이 했을 것 같지 않은 공격이 발생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전했다.

AI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며 역설적으로 보안 위협은 커졌다는 뜻이다. 쉽게 보지 못한 공격이 늘어났고 국가 차원의 해킹 시도에 AI가 쓰였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에 사이버 보안에 AI를 효과적으로 접목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위협에 대응할 수 있다는 게 이날 참석자들의 의견이다.

최근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로 보안 경각심이 커진 상황을 적극 활용하자는 주장도 나왔다. 참석자들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기업들의 정보보호 투자가 확대되고, 정부 차원의 정보보호 산업 지원책이 강화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국가 ICT 정책에도 보안이 더 스며들어야 한다는 요청도 나왔다. 조영철 KISIA 회장(파이오링크 대표)은 "정부 정책을 설계할 때 보안에 대한 기본 포션(비중)이 들어갈 수 있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류 차관은 "기업과 기관이 정보보호 투자를 소홀히 하지 않는 거버넌스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며 "정부와 민간이 힘을 합쳐 안전한 AI 시대를 만들어 나가는 데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Copyright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