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모닝 브리핑]은 서울경제가 전하는 글로벌 소식을 요약해 드립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9일까지 대부분의 국가와 무역협상을 마무리할 계획이며, 서한을 보내거나 거래를 통해 협상을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상호관세는 8월 1일부터 발효될 예정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을 통해 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각국에 요구했고 상호관세가 유예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각국은 협상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태국은 무역흑자 감축과 LNG 수입 확대 등을 통해 협상을 벌이고 있으며, 인도네시아는 미국과의 협상에서 무관세 적용을 제안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브릭스 국가들에 대해 반미 정책에 동조하면 추가 1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습니다.
![]() |
美, 최대 15개국에 관세율 통보…트럼프 "9일까지 협상 끝낸다"
각국은 협상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태국은 무역흑자 감축과 LNG 수입 확대 등을 통해 협상을 벌이고 있으며, 인도네시아는 미국과의 협상에서 무관세 적용을 제안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브릭스 국가들에 대해 반미 정책에 동조하면 추가 1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습니다.
![]() |
━
"미국당 만들겠다"는 머스크에 트럼프 “터무니없다” 맹폭
머스크의 정치적 행보로 인해 테슬라와 스페이스X의 주요 사업에 불확실성이 커졌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특히, 테슬라의 자율주행 로보택시와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은 머스크의 정치적 활동으로 전망이 불투명해졌습니다. 투자회사 아조리아파트너스는 머스크의 정치적 야망이 테슬라 CEO로서의 책무와 양립 가능한지 여부를 이사회가 다시 점검해야 한다고 지적하며, 테슬라 ETF 출시를 연기했습니다.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도 220억 달러 규모의 정부 계약 철회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습니다. 머스크는 지난해 대선에서 트럼프에게 거액의 선거 자금을 지원하며 가까운 관계를 맺었으나 올해 4월부터 트럼프와의 갈등이 표면화되면서 테슬라 주가는 하락세를 보였고, 올해 상반기 동안 22% 떨어졌습니다.
![]() |
━
트럼프 관세 피한 中, 동남아 ‘우회 수출’ 늘었다
![]() |
━
일본제철 CEO “10년 내 조강 생산 1억 톤, 세계 1위 복귀 목표”
아울러 US스틸의 유럽 거점인 슬로바키아 공장의 생산능력을 현재 450만 톤에서 1000만 톤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합니다. 그의 구상대로면 지난해 5782만 톤인 일본제철과 US스틸의 조강 생산량은 10년 후 1억 톤 규모까지 늘어날 예정입니다.
![]() |
━
미중갈등 피하자···상반기 홍콩증시 IPO 역대 최다
상장 신청이 잇따르면서 홍콩 증시는 상장 규모 면에서도 글로벌 1위로 올라섰습니다. KPMG에 따르면 홍콩 증시의 올해 상반기 신규 IPO 및 2차 상장 자금 조달 규모(기업인수목적회사 제외)는 138억 달러(약 18조 9000억 원)로 나스닥(92억 달러), 뉴욕증권거래소(78억 달러)를 제쳤습니다. 미중 갈등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를 피해 홍콩을 찾은 중국 기업들이 늘어난 영향으로 해석됩니다.
![]() |
김민경 기자 mkkim@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당신의 생각을 남겨주세요
0 / 1000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