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월 중 통합찬반 주민투표
책임론 불거질까 '부랴부랴'
'재선' 정치적 입지 강화 차원
반대 여론 잠재우기엔 역부족
시민단체 "통합 의지 있나"
우범기 전주시장이 7일 "통합에 반대하는 완주군민과 무릎을 맞대고 마주 앉아 목소리를 듣고 싶다"고 밝혔다. 우 시장이 전면에 나서서 전주·완주 통합 반대 측에 대화를 요청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를 두고 통합 성사를 가를 주민투표가 임박한 데다 내년 6·3 지방선거를 앞두고 재선을 노리는 우 시장이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부랴부랴 뒷북 대응에 나선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우 시장은 이날 전주시청 4층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완주군민협의회와 전주시민협의위원회에서 건의한 105개 완주·전주 상생 발전 방안을 추진하겠다"며 완주군민과의 만남을 요청했다.
상생 방안에는 △통합 인센티브 완주 지역에 전액 투자 △통합시청사·시의회청사 완주 지역 건립 △완주군민이 현재 받고 있는 혜택 12년 이상 유지 △완주군민 동의 없는 혐오·기피 시설 이전 불가 △완주군 의원수 최소 11명 지역구 12년 유지 등이 담겼다. 추후 완주군과의 논의 과정을 거쳐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책임론 불거질까 '부랴부랴'
'재선' 정치적 입지 강화 차원
반대 여론 잠재우기엔 역부족
시민단체 "통합 의지 있나"
![]() |
7일 우범기(가운데) 전주시장이 전주시청 4층 회의실에서 '105개 완주·전주 통합 상생 발전 방안 전격 수용'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전주시 제공 |
우범기 전주시장이 7일 "통합에 반대하는 완주군민과 무릎을 맞대고 마주 앉아 목소리를 듣고 싶다"고 밝혔다. 우 시장이 전면에 나서서 전주·완주 통합 반대 측에 대화를 요청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를 두고 통합 성사를 가를 주민투표가 임박한 데다 내년 6·3 지방선거를 앞두고 재선을 노리는 우 시장이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부랴부랴 뒷북 대응에 나선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우 시장은 이날 전주시청 4층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완주군민협의회와 전주시민협의위원회에서 건의한 105개 완주·전주 상생 발전 방안을 추진하겠다"며 완주군민과의 만남을 요청했다.
상생 방안에는 △통합 인센티브 완주 지역에 전액 투자 △통합시청사·시의회청사 완주 지역 건립 △완주군민이 현재 받고 있는 혜택 12년 이상 유지 △완주군민 동의 없는 혐오·기피 시설 이전 불가 △완주군 의원수 최소 11명 지역구 12년 유지 등이 담겼다. 추후 완주군과의 논의 과정을 거쳐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우 시장의 이날 기자회견은 완주 지역의 통합 반대 여론을 설득하기는커녕 논란만 부추겼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간 완주군과 완주군의회 측은 "상생 방안은 일부 통합 찬성 측 입장만 반영한 것이기 때문에 수용할 수 없다"며 반발해왔다. 게다가 상생 방안 추진을 위한 재원 조달 방안도 제시하지 않아 실현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우 시장은 "통합이 이뤄지면 전북도가 정부에 1조 원 지원을 요청할 예정"이라며 "1년 안에 다 들어가는 돈이 아니기 때문에 충분히 재원 마련이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사실상 구체적인 재원 확보 계획이 없다는 점을 스스로 인정한 셈이다.
지난 5일 유의식 완주군의회 의장 등이 우 시장과 남관우 전주시의회 의장에게 TV토론을 제안한 것에 대해선 "환영한다"면서도 "서로 협의가 이뤄져야 하고, 그에 앞서 통합 반대 군민과 만남을 갖고 싶다"고 말했다. 완주군의회 측은 우 시장이 사실상 토론을 거절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 |
지난 6월 25일 '도민과의 대화'를 위해 완주군에 방문한 김관영(가운데 오른쪽) 전북지사가 유희태 완주군수와 전주·완주 통합 반대 단체에 가로막혀 이동하지 못하고 있다. 김혜지 기자 |
전주·완주 통합은 우 시장의 민선 8기 1호 공약인데도 그동안 우 시장이 직접 나서서 완주군과 협상을 하거나 논의의 장을 마련한 적은 없다. 김관영 전북지사가 지난해 7월 26일, 지난달 25일 두 차례 완주군을 방문하는 동안에도 우 시장은 아무런 움직임이 없었다. "민간단체가 통합 추진과 관련해 활동하고 있고, 전주시가 직접 나서야 할 때에 대해선 고민하고 있다"는 입장만 되풀이했을 뿐이다.
지역에선 통합 찬반을 묻는 주민투표(8·9월)가 다가오고 있고, 반대표가 많이 나와 통합이 무산됐을 때를 대비해 우 시장이 마지못해 나선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미온적으로 대응하다가 책임론이 불거질 수 있어서다. 다만 실질적인 성사보다는 추후 통합이 불발되더라도 "할 만큼 다 했다"고 면피하기 위한 출구용 전략에 그칠 거란 우려가 나온다.
우 시장이 임기 동안 내로라할 만한 성과를 내지 못한 점이 이번 행보에 영향을 미쳤다는 시각도 있다. 자신을 '개발론자'라고 밝힌 우 시장은 전주종합경기장 철거 및 개발, 옛 대한방직 부지 개발, 전주역세권 복합개발 등을 추진했지만 임기 내 사업이 마무리 되긴 어렵다. 기획재정부 출신임을 내세워 취임 당시 '예산 폭탄 투하'를 약속했지만 지방채 6,000억 원을 넘어서는 등 되레 재정 상황은 악화됐다. 한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는 "우범기 전주시장은 통합의 주체인데도 뒷짐만 지고 있다가 이제와서 어떻게 반대 여론을 잠재우겠다는 건지, 통합 추진 의지는 있는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김혜지 기자 foin@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