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한겨레 언론사 이미지

7월 금리동결 확실시…“연내 금리인하 시간표 달라질 수도”

한겨레
원문보기

7월 금리동결 확실시…“연내 금리인하 시간표 달라질 수도”

속보
금융위 "해킹사고 엄중히 인식…금융권 기술대응 못 따라가"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 전경. 연합뉴스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 전경. 연합뉴스


“주택가격 상승과 가계부채 문제가 (금리 인하 사이클의) 최대 변수가 됐다.”



최근 한국은행 이창용 총재와 유상대 부총재가 잇따라 ‘금융안정 리스크’를 하반기 금리 경로의 핵심 변수로 지목하면서, 당장 오는 10일 열리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를 현 수준(연 2.50%)에서 동결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불과 두 달 전인 지난 5월 올해 ‘0.8% 저성장’에 대응해 금리를 내렸는데 이번엔 금융불안 리스크에 대응해야 할 상황이 됐다.



최근 4개월간 서울·수도권의 집값 상승은 지난해 10월 이후 시작된 통화당국의 금리 인하 사이클이 주요한 뒷배가 됐다. 금리 인하 기대가 빚을 내서라도 집을 사자는 부동산 쏠림으로 이어진 측면이 있는데, 여기에서 금리를 더 내리면 불장에 장작을 쏟아붓는 셈이라는 게 한은의 기류다.



이번에는 한은이 정부의 ‘6·27 대출 규제’와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효과, 이달 말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 1·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 효과 등을 지켜볼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한은이 여러 차례 경고한 것처럼 과도한 금리 인하 기대심리가 가계부채를 늘리는 요인으로 지목되는 만큼 최근 정부의 가계대출 규제와 마찬가지로 금융안정에 초점을 맞춰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 5월 금통위에선 금통위원 6명 중 4명이 ‘3개월 후 인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밝혀, 시장에서는 ‘8월 이후 연내 1~2 차례 금리 인하’ 예상이 많았다. 하지만 최근 집값과 가계부채 급등으로 금리 인하 시간표가 달라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정부가 고강도 대출 규제를 즉시 시행했지만 주택 거래량은 1~3개월 시차를 두고 대출에 반영되는 만큼 8~9월까지 가계대출은 상당폭 늘어날 공산이 크다.



성장 전망이 다소 개선되고 있는 점도 금리 인하 속도 조절이 가능한 이유로 꼽힌다. 지난 1분기 역성장(전기 대비 -0.2%) 충격 이후 2분기에는 민간소비와 수출이 예상보다는 양호해 한은의 기존 전망 경로(전기 대비 0.5%)를 웃돌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남강 한국투자금융지주 이코노미스트는 “2분기 성장률이 0.8%를 웃도는 회복 흐름이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박 이코노미스트는 “가계대출 증가세가 8∼9월까지 이어지고 추경 집행 등에 따른 경기 회복 흐름이 4분기에 뚜렷해지면 한은이 연말까지 계속 동결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도 있다”고 봤다.



다만, 여전히 내수 회복세는 미약하고 하반기 미국 관세 충격도 대기중인만큼 연내 금리 인하 사이클은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다수다. 조영무 엔에이치(NH금)금융연구소장은 “가계부채나 부동산보다 현재 경기 상황이 더 위험하다”며 “10월 정도 한 차례 더 금리를 내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회승 기자 honesty@hani.co.kr



▶▶[한겨레 후원하기] 시민과 함께 민주주의를!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