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더팩트 언론사 이미지

여야, '민생공약협의체' 구성키로…"힘 모아야 할 때"

더팩트
원문보기

여야, '민생공약협의체' 구성키로…"힘 모아야 할 때"

서울구름많음 / 30.1 °

여야 정책위의장, 국회서 상견례
협의체 출범 위한 실무 준비 착수
쟁점 법안 두고 타협 필요성 공감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과 김정재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여야 정책위의장 상견례에 참석해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은혜 국민의힘 원내정책수석부대표, 진 의장, 김 의장, 이정문 민주당 정책위수석부의장. /국회=배정한 기자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과 김정재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여야 정책위의장 상견례에 참석해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은혜 국민의힘 원내정책수석부대표, 진 의장, 김 의장, 이정문 민주당 정책위수석부의장. /국회=배정한 기자


[더팩트ㅣ국회=신진환 기자] 여야 정책위의장이 민생을 위한 정책 협력과 협치를 다짐하면서 지난 대선 당시 공통 공약을 추리고 실천할 '민생공약협의체'(가칭) 구성을 위한 실무 협의에 착수하기로 했다. 다만 국민의힘은 여야 간 이견이 있는 쟁점 법안에 대해 충분한 협의를 요구했다.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과 이정문 수석부의장, 국민의힘 김정재 정책위의장과 김은혜 원내정책수석부대표가 7일 오전 국회에서 상견례를 했다. 지난 3일 임명된 김 의장은 민주당 당색인 파란색 재킷을 입고 여당 회의실을 방문했다. 김 수석부대표도 짙은 하늘색 셔츠를 착복했다.

진 의장은 "(지금은) 민생이 정말 어려운 상황이고 여야가 함께 머리를 맞대고 힘을 모아야 할 때"라며 여야의 공통 과제를 추진하자고 제안했다.

진 의장은 "이번 대선 이후 자체적으로 파악해 보니 무려 200여 건의 여야 공통 공약이 있었고 그중 80여 건이 입법이 필요하다"라며 "얼마 전 국정기획위원회에서 공통 공약을 추려 우선순위로 국정 과제를 추진하기로 한 만큼 국회에서도 우선적으로 추진하면 국민에게 큰 위안과 선물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장은 "지난 10일 진 의장이 대선에서 양당의 공통으로 낸 공약을 우선 입법 추진하자고 하셨고 또 '민생공통공약추진협의회' 재가동을 제안했다"라며 "민생 앞에는 여야가 따로 없다는 것으로 응답하겠다"라고 화답했다.

민주당과 국민의힘은 이번 회동에서 민생공약협의체 출범을 위한 실무 준비에 착수하기로 했다. 이 수석부의장은 양당 간 공통 공약을 추리는 작업을 선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여야 간 공통 공약은 민주당 추산 200여 건, 국민의힘은 110여 건 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김 의장은 "현실적으로 이견과 논란이 존재하는 법안이 있다"라면서 노란봉투법과 양곡관리법, 농업4법, 방송3법, 화물자동차 안전운임제를 재도입하는 화물차운수법 등을 거론했다.

이어 "이런 법들이 일방적으로 통과되는 것이 아니라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시간이 걸리더라도 합리적 대안을 찾아가는 방법을 택했으면 좋겠다"라면서 "진 의장이 (야당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주시고 함께 동행해 주실 것을 희망한다"라고 말했다.

김 의장은 "야당은 의석수를 내세운 일방적 입법 강행을 우려하고 있고 국민도 시간이 지나면 아마 많이 불편해할 것"이라며 "집권당이면서도 국회에서는 거대 여당인 민주당이 서로 이견을 조율하고 논의하는 정치적 배려를 해줬으면 한다"라고 당부했다.


진 의장은 "여전히 여야 간 정치적인 생각이나 노선이나 조금 달라서 이견이 있는 법안들이 적잖이 있다"라며 "충분하게 협의·심사해 처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