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형 로펌들이 ‘이재명 정부 맞춤형 대관팀’을 가동하기 시작했다. 새 정부에서 추진되는 각종 정책과 입법에 대응해야 하는 고객들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다. 로펌들은 이번 정부와 성향이 비슷한 문재인 정부 출신들을 줄줄이 영입하고 있다.
◇ 노동·보건 관료, 고위급 법조인 등 영입… “자문·대관 역량 함께 강화”
로펌의 대관 조직은 흔히 ‘GR(Government Relations)’로 불린다. 정부와 관계하는 업무라는 뜻인데 이때 정부는 행정부뿐 아니라 입법부, 사법부를 아우르는 말이다.
6일 법조계에 따르면, 로펌들은 최근 새 정부와 소통할 인재 영입에 공을 들이고 있다. 법무법인 광장은 문재인 정부 때 고용노동부 장관을 지낸 안경덕 전 장관을 지난 5월 고문으로 영입했다. 비슷한 시기 법무법인 태평양도 문재인 정부 고용부 출신인 박화진 전 차관을 영입했다. 두 사람 모두 30여년 경력의 ‘노동 입법 및 정책통’으로 평가받는다. 현 정부와 여당이 적극 추진할 전망인 노란봉투법(노조법 개정안), 정년 연장, 주 4.5일제 등 노동 이슈에 대비하려는 움직임으로 보인다.
![]() |
일러스트=챗GPT 4 |
◇ 노동·보건 관료, 고위급 법조인 등 영입… “자문·대관 역량 함께 강화”
로펌의 대관 조직은 흔히 ‘GR(Government Relations)’로 불린다. 정부와 관계하는 업무라는 뜻인데 이때 정부는 행정부뿐 아니라 입법부, 사법부를 아우르는 말이다.
6일 법조계에 따르면, 로펌들은 최근 새 정부와 소통할 인재 영입에 공을 들이고 있다. 법무법인 광장은 문재인 정부 때 고용노동부 장관을 지낸 안경덕 전 장관을 지난 5월 고문으로 영입했다. 비슷한 시기 법무법인 태평양도 문재인 정부 고용부 출신인 박화진 전 차관을 영입했다. 두 사람 모두 30여년 경력의 ‘노동 입법 및 정책통’으로 평가받는다. 현 정부와 여당이 적극 추진할 전망인 노란봉투법(노조법 개정안), 정년 연장, 주 4.5일제 등 노동 이슈에 대비하려는 움직임으로 보인다.
법무법인 세종은 최근 문재인 정부 시절 보건복지부 장차관을 거친 권덕철 전 복지부 장관을 영입했다. 또 김앤장은 문재인 정부 시절 복지부 차관을 지낸 김강립 전 차관을 영입했다. 그는 이재명 정부의 초대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로 거론되기도 했다. 태평양은 오창현 전 복지부 보건산업진흥과장을 고문으로 영입했다. 태평양 관계자는 “규제 산업인 바이오·헬스케어 분야의 자문력을 강화하는 차원”이라고 했다.
율촌은 최근 문재인 정부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지낸 문승욱 전 장관을 고문으로 영입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관세 통상 정책에 대응해 기업 자문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율촌은 또 문재인 정부 청와대 방위산업담당관 등을 지낸 최용선 민주연구원 부원장을 전문위원으로 영입해 대관업무를 강화했다.
고위급 법조계 출신을 영입한 곳도 있다. 율촌은 문재인 정부 때 법무부 검찰국장, 검찰총장 직무대리 등을 지낸 조남관(사법연수원 24기) 전 대검찰청 차장을 영입했다. 세종은 장영수(24기) 전 대구고검장을 영입했다. 장 전 고검장은 법무부에서 법무과장, 법무심의관 등을 맡았다.
최근 문재인 정부 인사의 로펌행이 잦은 것은 시기적인 요인도 있다. 고위 공직자들은 퇴직 후 3년간 일정 규모 이상의 로펌에 취업할 수 없는데, 문재인 정부 때 퇴임한 관료 상당수가 올해부터 취업이 가능해졌다. 한 대형 로펌 관계자는 “새 정부와 결이 맞고 전문성을 갖춘 인사들을 영입해 자문 분야와 대관 분야를 함께 강화하려는 것”이라며 “전 정권의 기간이 짧았다 보니 특정 정부 인사들의 취업제한이 풀린 시점과 맞물린 영향도 있는 것 같다”고 했다.
◇ ‘이재명 규제’ 전담 조직부터 ‘상법·부동산·노동’ 정책별 대응팀도
대형 로펌들은 새 정부 정책에 대응할 조직을 신설하고 있다. 법무법인 화우가 지난달 출범한 ‘규제개혁솔루션팀’이 대표적이다. 이재명 정부의 규제 개혁 대응 전담 조직으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를 지낸 박광온 고문, 문재인 정부에서 외교부 차관을 지낸 최종문 고문 등이 포진했다.
태평양이 최근 신설한 ‘거버넌스 솔루션 센터’와 세종의 ‘기업지배구조 전략센터’, 법무법인 지평의 ‘경영권분쟁·주주관여 대응센터’는 상법 개정과 관련한 기업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조직이다.
또 세종과 지평은 오는 11월 개정 부동산투자회사법 시행으로 도입될 프로젝트 리츠 제도 관련 자문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각각 ‘프로젝트 리츠 TF’, ‘프로젝트 리츠 통합지원센터’를 출범했다. 아울러 광장은 노동 정책 변화와 관련, 인사·노무·안전 등에 대한 자문을 담당할 ‘노동컴플라이언스팀’을 신설했다.
이선목 기자(letswin@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