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준석 기자] 전남의 도시들이 빠르게 늙어가고 있다. 가장 민감한 지표는 '청년의 발길'이다. 20~30대 청년들이 도시에 남지 않고 수도권으로 떠나면서, 전남의 지역 쇠퇴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전남의 청년 유출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그 원인과 해법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과 실천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청년이 등을 돌린 몇 가지 이유 중 첫째는, '일자리 기회의 빈곤'이며, 청년 유출은 여전히 일자리의 질과 다양성 부족이다.
![]() |
대한민국 청년의 살아있는 창업스토리가 담겨서 출간된 '좌충우돌 청년창업' 책. |
전남의 청년 유출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그 원인과 해법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과 실천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청년이 등을 돌린 몇 가지 이유 중 첫째는, '일자리 기회의 빈곤'이며, 청년 유출은 여전히 일자리의 질과 다양성 부족이다.
청년들이 떠나고 있는 전남 도시들은 대기업의 이전이나 혁신도시 수준의 공공기관 이전을 거의 경험하지 못했다. 제조업 기반은 줄어들고 있고, 남아 있는 일자리의 상당수는 농·수산업이나 저임금 서비스업에 집중돼 있다.
이런 환경은 고소득·고안정성 일자리를 찾아야 하는 청년들에게는 매력적이지 않은 환경이다. 한때 유행한 '한 달 살기' 프로그램으로 외지 청년들이 잠시 방문해 활기를 띤 적도 있지만, 이 역시 구조적인 일자리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단발성 이벤트에 그칠 수밖에 없었다.
두 번째는 '흐릿한 정주 환경'인 삶의 질 문제다. 청년들에게는 일자리만큼 중요한 것이 바로 삶의 질이다. 그러나 전남 도시들의 문화·교통·주거·교육 인프라는 여전히 수도권에 비해 크게 뒤처진다.
대형 병원, 쇼핑센터, 공연장, 청년들이 모여 네트워킹할 수 있는 카페와 커뮤니티 공간 등, 삶의 품격을 높여주는 요소들이 턱없이 부족하다.
전남의 주요 시들이 추진 중인 육아·교육인프라 확충도 실질적으로 뚜렷하게 체감하기 어려운 수준이며, 청년들의 눈높이에 맞는 속도와 품질로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세 번째는 '보수와 복지의 불공정한 격차'다. 수도권과 지방 간 임금 격차는 잘 알려진 사실이다. 같은 일을 해도 받는 임금은 수도권이 높고, 복지 혜택도 더 풍부하다.
전남에서도 귀향 장려금 등 일회성 지원이 없지는 않지만, 지속 가능한 복지 체계나 커리어를 지원하는 제도는 취약하다. 청년층의 장기적인 생계와 미래 설계에는 역부족이다.
네 번째 '사회적 가치 실현'이다. 청년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자기실현'과 '다양성', 그리고 '공동체적 가치'를 받아줄 수 있는 분위기가 전남에는 부족한 '닫힌 문화' 현상이다.
여전히 보수적이고 새로운 시도를 꺼리는 문화 속에서, 청년들은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공간도, 도전할 기회도 찾기 어렵다. 지역사회가 청년의 다양한 가치와 선택을 존중하고 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 |
'통계'가 아닌 '사람'에 답이 있다
특히 전남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순천시는 청년의 목소리를 듣고자 노력해 왔다. 수십가지의 지표를 수집해 데이터 기반으로 정책을 설계하고, 인구정책위원회를 가동하며 청년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려 했다.
하지만 정책의 실효성, 지속성, 그리고 중앙-지방 간의 유기적 연계가 부족해 한계가 명확했다. 무엇보다도, 수치와 계획으로만 접근하기보다는 청년 한 사람, 한 사람의 삶의 궤적을 바꾸는 실질적인 체감형 정책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청년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일자리와 삶의 질을 함께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대기업이나 공공기관 유치를 넘어, 지역의 산업을 고도화하고 첨단 기술·창업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청년들이 편안하게 살고, 배우고, 사랑하고, 아이를 낳아 기를 수 있는 정주 환경을 빠르게 개선해야 한다.
또한, 지역사회가 청년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그들의 도전을 응원하는 문화로 바뀌어야 한다. 청년을 '지원해야 하는 대상'이 아니라 '함께 만드는 동반자'로 바라보는 관점의 전환이 절실하다.
지금 전남의 청년 정책은 '머물게 하는 이유'보다 '떠나지 못하게 붙잡는 수단'에 가깝다. 하지만 청년들이 스스로 "여기서 살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도시를 만든다면, 전남의 쇠퇴를 멈출 수 있다.
그것은 단순한 인구 수의 문제가 아니라, 전남의 미래를 걸고 선택해야 할 과제다. 청년이 남는 도시가 미래가 있는 도시다. 전남의 청년이 떠나지 않아도 되는 이유를 이제는 만들어야 한다.
양준석 kailas21@aitimes.com
<저작권자 Copyright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