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명 설사·근육통 호소···방역당국, 역학조사 중
![]() |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 제공 |
경기 남양주시의 한 식당에서 육회비빔밥을 먹은 손님들이 집단으로 장출혈성대장균에 감염돼 조사당국이 역학조사에 나섰다.
경기도는 지난달 19일 남양주 소재 음식점에서 육회비빔밥을 섭취한 29명 중 26명(89.7%)이 다음날부터 설사와 근육통 등의 증상을 호소했다고 3일 밝혔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의 검사 결과 유증상자 검체 21건 중 8건에서 장출혈성대장균(이하 EHEC) 병원체가 확인됐다. 해당 음식점에서 보관 중인 소고기와 육회비빔밥 재현식에서도 EHEC 병원체가 확인됐다.
음식점 조리 종사자나 조리도구에서는 병원체가 검출되지 않았다. 방역당국은 위험노출시기 내 추가 유증상자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경기도와 질병관리청(수도권질병대응센터)은 해당 음식점과 소고기 납품업체에 대해 역학조사를 실시 중이다. 이를 바탕으로 감염원인 및 구체적인 전파경로를 확인할 예정이다.
EHEC 감염증은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에 의한 출혈성 장염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여름철(6~8월)에 자주 발생하는 대표적인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이다.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제2급 감염병이다. 감염 시 심한 경련성 복통, 오심(구역질), 구토, 미열, 설사 등이 주요 증상으로 나타난다.
증상은 5~7일 이내 대체로 호전되지만, 환자의 10%(주로 10세 미만 소아나 노인)는 합병증인 용혈성요독증후군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아에서의 치명률은 3~5%에 이른다.
주요 감염경로는 오염된 식품 또는 물의 섭취다. 특히 소고기나 생채소류를 통한 감염 및 집단발생 사례가 많다. 사람 간의 전파도 가능하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오염된 육류나 올바르게 세척되지 않은 야채류의 섭취가 EHEC 감염증의 위험요인으로 꼽힌다”며 “올바른 손씻기와 음식 익혀먹기, 위생적인 조리를 생활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태희 기자 kth08@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 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