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0일 오전 국회에서 국민의힘 주재로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국민청문회’가 열리고 있다. 윤운식 선임기자 yws@hani.co.kr |
국민의힘은 30일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국민청문회’를 열어 김 후보자 지명 철회를 압박했다. 지난 24~25일 열린 국회 인사청문회 때 자료 제출·증인 채택 등이 이뤄지지 않아 검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며, 일반 국민과 각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자체 청문회를 열어 김 후보자의 불투명한 재산 증식 의혹 재점화에 나선 것이다. 국민의힘은 이 자리에서 “배추 농사로 매달 450만원을 받았다는 주장은 말이 안 된다”는 농민의 발언을 통해 김 후보자 해명이 납득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국민청문회에서 “지난주 김 후보자 인사청문회는 국민 상식으로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장면이었다”며 “소득이 없는데 재산이 늘었고 배추 농사, 증여세 등 각종 의혹만 눈덩이처럼 불었다. 김 후보자처럼 부도덕한 인사를 총리로 인선하면 앞으로 어떤 인사청문회도 의미를 가지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김 후보자가 과연 국정을 책임을 맡을 자격이 있는지, 이 정권이 국민 앞에 떳떳할 수 있는지 국민 이름으로 검증하겠다”며 자체 청문회 개최 이유를 밝혔다. 이날 국민청문회에는 김경률 회계사, 김대희 한국농촌지도자 평창군 연합회장, 남성욱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 김금혁 전 국가보훈부장관 정책보좌관 등이 참여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국민청문회가 열린 회의장 한켠에 ‘배추 18포기’를 쌓아 두었다. 김 후보자가 미국 유학 시절 지인 강아무개씨로부터 매달 450만원을 받았다는 의혹과 관련해 “배추농사 투자 수익 배당금”이라고 해명한 것을 비판하기 위한 차원이다.
김경률 회계사는 김 후보자의 재산 형성 의혹과 관련해 소득 출처가 불분명한 재산이 8억원이라며 “공직자윤리법의 허점을 찾아내 출판기념회다 결혼식이다 빙부상이다 이런 식으로 사후적으로 꿰맞춘 조작 아닌가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김 후보자가 조의금 1억6천만원, 출판기념회 2억5천만원, 처가로부터 받은 생활비 2억원 등을 소득 출처로 제시한 걸 믿을 수 없다고 한 것이다. 그는 “김 후보자가 ‘제2의 조국’이라면 조국은 억울할 것”이라며 “의원 스스로 공직자윤리법을 형해화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김 후보자가 배추 농사에 2억원을 투자해 다달이 450만원을 받았다고 밝힌 것에 대해, 농민 김대희 연합회장은 “그렇게 투자해 다달이 받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김 후보자가 이야기한 게 사실이 아닌 건 확실하다”고 했다. 배추 농사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날이 1년에 한번 혹은 두번 정도 수확하는 때로 정해져 있어 달마다 돈을 받는 경우가 없다는 취지다.
북한이탈주민인 김금혁 전 보좌관은, 김 후보자가 논문에서 탈북자를 ‘반도자·도북자’로 표현한 데 대해 사과를 요구했다. 김 전 보좌관은 “‘반도자’는 배반하고 도망간 사람이란 의미 외 다른 뜻이 없다”며 “탈북민을 배신자로 부르는 건 북한 정권 뿐이다. 부적절한 용어를 쓰는 배경에 탈북민에 대한 비뚤어진 시각이 담긴 게 아닌지 우려된다”고 했다. 이어 “반성이나 사과 없이 넘어가면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했다.
남성욱 교수는 ‘김 후보자 석사 논문 표절율이 41%가 나왔다’는 것과 관련해 “고려대는 (카피킬러를 통한 표절율) 7%를 마지노선으로 본다”며 “후보자 논문 표절율 41%라는 소리를 듣고 학생들이 ‘왜 내 논문 심사는 안 되나’라며 저한테 항의하는 일도 있었다”고 했다. 그는 “김 후보자 논문 34쪽에서 각주 등을 빼면 30쪽인데 41% 표절이면 15~20장 정도만 본인이 쓴 것”이라며 “간이 굉장히 크다”고도 했다.
송 원내대표는 이날 청문회 말미에 “우리가 원하는 건 아주 간단하다. 여러 의혹에 대해 김 후보자 본인이 자료 제출을 약속했으니 제출하라는 뜻”이라며 “자료만 제출하면 김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준 절차에 동의할 수 있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는데 아직 김 후보자의 대답이 없고 더불어민주당 반응도 없다”고 비판했다.
전광준 기자 light@hani.co.kr
▶▶[한겨레 후원하기] 시민과 함께 민주주의를!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