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헤럴드경제 언론사 이미지

“팔다리에 여러마리 다닥다닥”…‘러브버그’ 민원 1만건 육박, 퇴치법 뭐 있나

헤럴드경제 김주리
원문보기

“팔다리에 여러마리 다닥다닥”…‘러브버그’ 민원 1만건 육박, 퇴치법 뭐 있나

속보
경기 안성 양성면 40.6도…서울도 38도 올해 최고
[연합]

[연합]



[헤럴드경제=김주리 기자] 암수가 꼬리를 맞대고 이동해 ‘러브버그’로 불리는 붉은등우단털파리의 활동이 크게 늘어 시민들의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28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시에 접수된 러브버그로 불리는 붉은등우단털파리 관련 민원은 9296건으로 1년 전 4418건 대비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는 같은 유행성 생활 불쾌 곤충으로 분류되는 동양하루살이 민원(240건)의 약 38배에 달하는 수치다.

중국 동남부나 일본 오키나와에 주로 서식하던 러브버그는 2022년부터 우리나라 수도권을 중심으로 대량 발견되고 있다. 성충 수컷은 3~4일, 암컷은 일주일 정도 생존한다. 암컷은 한 번에 200~300개의 알을 낳지만 생존율이 높지 않아, 대규모로 나타난 뒤 2주가량 지나면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러브버그는 보통 6월 말부터 7월 초·중순에 많이 발생하는 계절성 곤충이다. 올해는 이례적인 고온과 장마의 영향으로 예년보다 이른 6월 중순부터 출몰하고 있다. 러브버그는 질병을 옮기지 않고 토양을 비옥하게 만드는 익충이지만 암수가 꼬리를 맞대고 이동하는 모습이 혐오감을 주는 등 시민들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각 지자체는 현재 살수 등 친환경적인 방식의 방제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무분별한 살충제 사용은 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어 화학적 방역을 지양하고 있다. 서울시는 러브버그가 대량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달 말부터 은평구 백련산 일대에 광원·유인제 포집기를 운영한다. 영동대교 한강 수면 위에는 부유식 트랩을 운영하고 있다.

가정이나 야외에서 러브버그에 대응할 수 있는 요령도 익혀두면 도움이 된다. 예방 수칙으로는 ▷야간 조명 밝기 최소화 ▷방충망 점검 ▷외출 시 어두운색 옷 착용 △차량 부식 방지를 위해 자주 세차하기 ▷끈끈이 트랩 설치 ▷벽이나 창문에 붙은 개체는 살충제 대신 휴지·빗자루를 이용하거나 물을 뿌리는 방법 등이 있다.

특히 러브버그는 붉은색 등 화려하고 밝은 색을 선호하는 만큼, 장기간 야외 활동 시 어두운색 옷을 입는 게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