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아주경제 언론사 이미지

SK실트론 사익편취 제재, 대법원서 최종 무효…"사업기회 제공 아냐"

아주경제 박용준 기자
원문보기

SK실트론 사익편취 제재, 대법원서 최종 무효…"사업기회 제공 아냐"

속보
대통령실 "협상대표단 트럼프 만난다…결과 따라 긴급 브리핑"
최태원 SK그룹 회장. [사진=연합뉴스]

최태원 SK그룹 회장. [사진=연합뉴스]



SK실트론 지분 인수를 둘러싸고 공정거래위원회가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SK㈜를 상대로 부과한 과징금 및 시정명령이 대법원에서 최종 취소됐다. 대법원은 공정위가 주장한 ‘사업기회 제공’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고 원심 판결을 그대로 확정했다.

대법원 2부(주심 엄상필 대법관)는 26일 최 회장과 SK㈜가 공정위를 상대로 제기한 과징금 및 시정명령 처분 취소 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확정했다. 이에 따라 공정위가 2021년 최 회장과 SK에 각각 8억 원씩 총 16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시정명령을 내린 처분은 최종 무효가 됐다.

쟁점은 2017년 SK㈜가 LG실트론(현 SK실트론) 지분 51%를 인수한 뒤 남은 지분 가운데 19.6%만을 추가로 매입하고, 나머지 29.4%를 최 회장이 개인 자격으로 인수한 것이 SK㈜의 ‘사업기회’를 부당하게 이용한 것인지 여부였다. 공정위는 SK㈜가 나머지 지분 인수를 사실상 회피하고, 최 회장이 이를 활용해 부당한 이익을 얻었다고 판단했다.

이에 대해 최 회장과 SK는 SK㈜가 이미 경영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준의 지분을 확보한 상황에서 추가 지분 인수를 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은 경영상 판단의 일환이었으며, 최 회장은 제3자 경쟁입찰에 정당하게 참여해 지분을 매입했을 뿐이라고 반박했다. 지분 인수는 ‘총수익스와프(TRS)’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공모와 담합 없이 시장에서 이뤄진 독립적 투자였다는 입장도 함께 제시됐다.

서울고등법원은 지난해 1월, SK와 최 회장의 주장을 받아들여 공정위의 처분을 취소하라고 판결했고, 공정위가 이에 불복해 대법원에 상고했으나 이번 선고로 최 회장 측의 승소가 확정됐다. 대법원은 원심 판단에 대해 “SK㈜가 입찰에 참여하지 않은 행위가 곧바로 사업기회 제공으로 볼 수는 없다”며 공정위의 주장에 법리적 근거가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이번 판결은 지배주주의 사익편취 규제와 관련해 공정위가 제재 근거로 삼아 온 ‘사업기회 제공’ 개념의 적용 범위를 명확히 한 판례로 평가된다. 특히 총수 개인이 계열사 인수 과정에서 직접 투자자로 나선 행위가 곧바로 불법행위로 연결되지 않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유사 사건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이번 판결은 최 회장과 배우자 노소영 관장 간 진행 중인 이혼소송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쟁점 중 하나는 SK실트론 지분이 혼인 중 형성된 공동재산인지, 개인 특유재산인지를 둘러싼 법적 해석이다. 공정위 제재가 그대로 유지됐다면 해당 지분이 회사의 사업기회를 통해 취득한 자산으로 간주될 수 있었지만, 이번 대법원 판단으로 정당한 개인 자산으로 인정된 만큼, 향후 재산분할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아주경제=박용준 기자 yjunsay@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