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베이비뉴스 언론사 이미지

"'손흥민 골절'로 널리 알려진 '안와골절', 증상 없다고 대수롭게 여기지 말아야"

베이비뉴스
원문보기

"'손흥민 골절'로 널리 알려진 '안와골절', 증상 없다고 대수롭게 여기지 말아야"

속보
한미 외교장관 "확고한 북한 완전한 비핵화 의지 재확인"
[칼럼니스트 황만기]
2022년 카타르 월드컵 당시 손흥민 선수. ⓒ대한축구협회

2022년 카타르 월드컵 당시 손흥민 선수. ⓒ대한축구협회


2022년 카타르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국가대표 축구팀 주장 손흥민 선수가 마스크를 쓰고 경기에 임한 감동적인 투혼 장면을 우리나라 국민들은 모두 안타까운 마음으로 기억할 것입니다. 영국 프리미어리그(EPL) 경기 중 상대 선수와 충돌한 이후 안와골절이 발생했었기 때문이었지요.

'안와골절(orbital wall fracture)’이란, 안구와 눈 속 근육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안와골이 부러지는 것을 말합니다.

안구는 원래 주변의 얇은 뼈들에 의해 둘러싸여 보호되고 있는데, 안구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눈 주위 뼈는 우리 몸에서 가장 얇은 뼈로서, 아주 가늘고 섬세하기 때문에, 매우 작은 충격만으로도 쉽게 손상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 내측뼈와 하측뼈가 깨집니다. 안와골 가장자리는 비교적 단단하기 때문에 골절이 쉽게 발생하지 않지만, 안와내벽과 안와하벽은 너무 얇아서 골절되기 쉬운 부위입니다. 이렇게 위치에 따라서 안와골절은 크게 '안와내벽 파열골절’과 '안저 파열골절’로 분류되는데,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안와골절 형태는 '안저 파열골절’입니다.

안와(眼窩)란 안구와 주변 부속기를 둘러싸고 있는 공간을 말하는데, 크게 두 부분으로 분류됩니다.

1. 눈·시신경·외안근 등을 보호하기 위해 그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지방조직

2. 얼굴의 다른 부위와 구분 짓는 벽의 역할을 하는 안와뼈(눈뼈)


눈확(orbit)은 네 개의 면을 가진 피라미드 모양으로 총 7개의 뼈가 연결되어 오목한 형태입니다. 이 오목한 공간은 약 30ml 정도의 용적을 가지고 있는데, 이 7개의 뼈는 각각 이마뼈·광대뼈·위턱뼈·눈물뼈·나비뼈·벌집뼈·입천장뼈라고 부르는데, 안쪽벽(내측뼈)과 아래벽(하측뼈)은 구조적으로 특히 더 많이 얇아서, 너무 강하지 않은 작은 외부 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골절될 수 있습니다.

특히 운동 선수들이 타인과의 충돌 등으로 안와골절을 자주 겪고 있으며, 낙상·타인에 의한 폭행(폭력 사건)·낙상·산업재해·교통(자동차)사고·생활 스포츠(축구·야구·족구·배구·농구·테니스·등산·자전거·골프·격투기(태권도나 권투) 등) 활동 중에도 쉽게 발생합니다.

최근 들어서 머리와 얼굴 부상을 당하는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다는 해외 자료도 있습니다. 『미국 두개안면 외과학지(Journal of Craniofacial Surgery)』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2013~2022년 동안 상해(傷害) 데이터 58만 3000건을 분석한 결과, 운동을 하다가 다친 두개안면 부상의 연간 비율이 33% 증가했고, 남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56%나 되었다고 하며, 부상 증가율은 여성 45%로서 남성 24%에 비해 거의 두 배 가까이 높았다고 합니다.


따라서, 혹시라도 얼굴(안면부)에 외상(外傷)을 입었다면 그 충격으로 인해서 언제든 안와골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골절 여부를 조기에 확인해야 합니다. 안와골절이 있을 때, 증상이 아예 없을 수도 있지만, 눈꺼풀 부종·멍·결막 출혈(안구 충혈)·안구운동 장애(제한)·안압 상승으로 인한 안구 손상(안구파열/망막진탕)·물체가 둘로 보이는 복시(複視)·메스꺼움·구토·얼굴 부위(코/입술/잇몸/치아 등) 감각 이상(저하)·통증(눈동자를 돌릴 때)·시력 저하(실명)·안면 비대칭·코피·안구함몰 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서 다른 얼굴뼈 골절(광대뼈 골절·턱뼈 골절)도 안와골절과 동반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없으면 안와골절이 경미해서일 것이라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수 있지만, 안와골절 범위가 굉장히 클 때에는 오히려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안와골절 부위가 작으면 골절된 뼈 사이로 눈 주변의 근육이 끼어서 안구운동 장애나 통증이 발생할 수 있지만, 안와골절 부위가 크면 전반적인 안와 내용물이 주저앉아서 부종이 있는 초기에는 별로 티가 나지 않다가 부종이 빠지면서 심각한 안구함몰이 나타날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사실 얼굴뼈 골절 치료는 단순히 뼈를 맞추는 것 뿐만이 아니라 얼굴의 기능 회복과 미용적 개선을 모두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통합적 접근이 매우 필요합니다.


1. 수술적 치료 : 수술을 통해서 골절 부위를 교정하고 금속판이나 나사 등을 이용해서 고정합니다. 수술 후에는 뼈가 완전히 다 붙을 때까지 충분한 기간 동안 최대한 안정을 취해야 하며, 수술 후 집중적인 재활 관리를 통해서, 뼈 뿐 아니라 신경 및 근육 기능의 완전한 회복을 도모해야 합니다. 안와골절 수술 골든타임은 2주입니다. 부종(붓기)이 가라앉고 손상이 어느 정도 안정된 후 가급적 2주 이내로 수술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많습니다. 2주 이상 방치할 경우, 안와 조직이 변형된 위치에서 굳어져서 수술이 어렵고, 회복도 느려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안와골절 환자에게 수술을 진행하는 경우는 다음의 2가지입니다.

(1)골절 부위로 눈을 움직이는 근육 또는 주위 조직이 끼어서 안구 운동장애와 복시가 나타나는 상황

(2)안와골절 부위가 너무 커서 수술하지 않고 그냥 방치할 때 눈이 뒤로 꺼지는 안구함몰 후유증(부작용)이 예상될 경우

우리나라 안와골절 환자 2415명 중 26.8%인 648명이 결국 수술을 시행한 것으로 확인한 논문(2022년 SCI 국제학술지 발표)도 있었습니다. 임상적으로 보았을 때, 두께가 얇은 내측뼈는 수술을 안 해도 되는 사례들이 상대적으로 더 많습니다.

2. 비수술적 치료 : 골절 정도가 경미한 정도이거나, 환자가 고령(어르신)이시거나, 여러 기저질환으로 인해서 수술 진행이 어려운 경우에는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사실 안와골절은 눈에 가해지는 충격을 주변으로 분산시켜 주는 일종의 보호 기전(외부 충격으로부터 안구를 보호하기 위해 안와벽이 깨지며 안구가 충격을 받는 것을 최소화시켜줌)으로서, 심하지 않은 안와골절은 수술할 필요가 없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3. 재활 치료 : 재활 치료를 통해서 뼈 뿐 아니라 연부 조직의 기능을 회복하고 얼굴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와골절을 진단받았거나 의심되는 상황이라면 가급적 코를 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코를 풀면 골절된 부위를 통해서 공기가 안와 내부로 들어가는 안와 기종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서 눈이 크게 부풀어 올라 많은 불편을 초래할 뿐만이 아니라 수술이나 재활 치료 및 경과 관찰에도 큰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안경과 콘택트렌즈 사용도 중단해야 하며, 안와골절 부상 부위를 만지거나 압력을 가하지 말아야 하고, 눈의 움직임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소아청소년 안와골절 환자의 임상 양상(A Clinical Study of Pediatric Orbital Wall Fracture)」 논문을 살펴보면, 소아청소년 안와골절 환자의 평균 연령은 14.96세였다고 합니다. 아이들의 경우, 다른 아이의 발에 맞거나 미끄럼틀을 타다가 얼굴을 바닥에 부딪혀서 안와골절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최근 학교 폭력이나 가정 내 아동 학대 등으로 인한 소아청소년 악안면 골절(안와골절 포함)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특히, 개학(신학기)을 맞이하는 매년 3월과 8~9월달에 소아청소년 안와골절이 집중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이 시기를 전후로 해서 더욱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한방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근골격계 질환 환자 1,485명에 대한 후향적 임상 분석(A Retrospective Clinical Analysis of 1,485 Patients Who Visited the Emergency Room of Korean Medical Hospital with Musculoskeletal Disorders)」(2015년/대한침구의학회지) 논문과 「안와 골절로 유발된 복시 1례에 대한 한방치료 증례 보고(A Case Report of Diplopia after an Orbital Wall Fracture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Treatment)」(2016년/대한침구의학회지) 논문을 살펴보면, 안와골절로 인한 복시 환자들에게 전침 치료와 함께 한약 치료를 병행한 임상 케이스가 있었습니다. 대표적으로 가미삼기음(加味三氣飮), 시갈해기탕(柴葛解肌湯), 독활지황탕(獨活地黃湯) 등의 유명한 한약 처방이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한약 처방들은 어혈(瘀血, 혈액순환 장애) 치료, 부종 및 염증 개선, 근육 기능 조기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해서 처방되었습니다.

대한민국 특허청에 이미 정식으로 등록된 '특허한약 접골탕(接骨湯)’(골진(bone resin) 분비 촉진을 통한 약 2배 정도 빠른 신속한 골절 회복 효과를 현대과학적으로 입증함으로써 특허까지 취득한 유명한 한약 처방)의 핵심 성분인 '당귀(當歸)’의 경우, 기존의 많은 연구들(뼈세포 증식 효과에 관한 당귀(當歸)의 약리학적 효능 검증 연구)에서 '당귀(當歸)’가 직접적으로 alkaline phosphatase(ALP) activity와 protein secretion을 자극하고, type I collagen synthesis of OPC(osteoprecursor cells)-1를 촉진해서 결국 뼈세포 증식에 유의미하게 관여하며, 골절의 신속한 회복 효과와 함께 골다공증(osteoporosis)·골감소증(osteopenia)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동시에 보인다고 학계에 연속적으로 보고된 바 있습니다.

*칼럼니스트 황만기는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에서 학사·석사·박사를 졸업(한의학박사)했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박사를 수료했다. 서강대·이화여대 의학전문대학원·경희대 한의과 등에서 한의학을 꾸준히 강의했다. 현재, 국내 최초 키성장·골절·골다공증·총명(인지기능 향상) 특허한약(성장탕·접골탕·총명탕) 기반 진료 시스템을 갖춘 황만기키본한의원에서 진료(대면+비대면)하고 있다. 아이누리 한의원 전국 네트워크 설립자&대표원장으로 오랫동안 활동했으며, 청담아이누리한의원·서초아이누리한의원에서 22년 동안 약 2만여명의 다양한 환자들을 진료했다.

【Copyrightsⓒ베이비뉴스 pr@ibabynews.com】

<저작권자 Copyright ⓒ 베이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