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헤럴드경제 언론사 이미지

李대통령 “로스쿨, 음서제 될까 걱정”…하지만 망설인 이유는

헤럴드경제 김성훈
원문보기

李대통령 “로스쿨, 음서제 될까 걱정”…하지만 망설인 이유는

속보
SK이노베이션, 2조 규모 제3자 배정 유상증자 결정
이재명 대통령이 25일 광주광역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광주시민·전남도민 타운홀미팅’을 하며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연합]

이재명 대통령이 25일 광주광역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광주시민·전남도민 타운홀미팅’을 하며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연합]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25일 로스쿨(법학전문대학원) 제도에 대해 “법조인 양성 루트로 문제가 있는 것 같다”면서도 제도 개편에는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 대통령은 이날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찾아 ‘광주시민·전남도민 타운홀 미팅’ 행사에서 한 참석자가 ‘로스쿨을 나온 사람만 변호사가 될 수 있는데, 금수저인 사람만 그 로스쿨을 다닐 수 있다’고 지적하자 “개인적으로는 일정 부분 공감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마침 (행사 전) 점심을 먹는 자리에서도 사법시험 부활과 관련한 얘기가 나왔다. 이 점을 두고 논란이 참 많다”며 “(로스쿨제가) 과거제가 아닌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도 잠깐 했다”고 했다.

음서제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고위 관리의 친인척에게 신분을 우대해 과거 시험 없이 관직을 주던 제도로, 양반가에서 관료 사회를 장악하는 데 악용됐다.

다만 이 대통령은 “공식 의제로 논의하기가 쉽지 않다. 진짜 어려운 주제이긴 하다”면서 “검토나 한번 해보시죠”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개인적으로는 로스쿨 제도가 이미 장기간 정착됐으니 이를 폐지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며 “그렇다고 해서 (법조인이 되는) 모든 길은 로스쿨밖에 없어야 하나. 실력이 되면 로스쿨을 나오지 않아도 변호사자격을 검증해 줄 수 있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그런 생각을 하긴 하지만, 정책적으로 사회적으로 격론이 벌어질 일이어서 쉽게 얘기는 못 할 문제”라고 덧붙였다.

로스쿨은 2009년 도입됐으며, 사법시험은 2017년을 끝으로 폐지됐다. 현재는 로스쿨 졸업생만 변호사가 될 수 있다. 로스쿨은 다양한 배경을 갖춘 법조인을 양성한다는 취지로 도입됐으나, 한 학기 등록금이 지난해 기준 819만원에 달하는 등 사실상 부유층·권력층만 법조인이 되도록 제한한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다.

이 대통령은 2022년 20대 대선 당시 사법시험 부활을 공약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