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가 25일 청문회 준비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스퀘어로 출근하며 소감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
이재명 정부 첫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권오을 전 의원이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인선 논란을 두고 25일 “임명권자도 관장도 참 고집을 부리셨다”며 “그렇게 반대가 많으면 한 번 더 생각해 보시는 게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권오을 후보자는 이날 오전 청문회 준비를 위해 마련된 서울역 앞 사무실로 출근하면서 취재진과 만나 이렇게 말했다. 독립기념관장은 국가보훈부 장관의 제청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한다. 지난해 8월 윤 전 대통령이 뉴라이트 논란이 불거진 김형석 관장을 임명하자, 독립운동가 후손단체들은 “대한민국 헌법을 부정하고, 독립운동가를 폄훼하고, 친일파를 옹호하고, 민주주의에 대해 왜곡된 시각을 가진 인물을 임명했다”고 반발했다.
권 후보자는 또 “소통의 장을 자주 마련하면 광화문에 태극기 부대와 촛불 부대가 서로 소통이 되고 이해가 될 것”이라며 진보와 보수 사이 소통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그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발생하는 각종 보훈 훈격 논쟁에 대해서는 “당시의 행적을 가지고 보훈 심사를 하는 것이 기본”이라며 “결론이 났으면 따르는 것이 지속적인 국가와 정부의 정책인데, 정부와 정권이 바뀌었다고 해서 그걸 훼손하거나 등급을 낮추면 국가의 여러 체계가 흔들린다”고 말했다.
이어 “여러 정치적인 이유로 보훈 대상에서 제외됐던 분들을 국민적 합의를 통해서 대상에 포함시키는 것도 제가 재직하면서 해야 할 일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권 후보자는 이날이 6·25전쟁 발발 75주년이라면서 “대한민국을 지켜내신 호국 영령들께 깊은 존경과 감사를 드리며, 이런 분들을 예우하는 보훈은 국가가 해야 할 최소한의 책무”라고 강조했다. 이어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을 하는 실질적인 예우와 국민통합이라는 이재명 정부의 철학을 가슴에 새기면서 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성실히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권 후보자는 보훈 정책과 관련해 유공자의 유자녀 중 한 명만 보훈 대상이 되는 경우가 있다면서 “이제는 가족 수도 적은데 자식 세대가 다 혜택을 받는 방향으로 틀을 바꿔가야 하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밝혔다.
경북 안동 출신인 권 후보자는 1996년 통합민주당 소속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됐고 2000년과 2004년에는 한나라당 소속 국회의원이었다. 올해 대선을 앞두고 이재명 후보 대선캠프에 합류했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한겨레 후원하기] 시민과 함께 민주주의를!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