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더팩트 언론사 이미지

새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예고…유통업계 "기대 반 우려 반"

더팩트
원문보기

새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예고…유통업계 "기대 반 우려 반"

속보
'여객선 좌초' 일등항해사·조타수 구속영장 발부

1인당 최대 52만원 지급…7월 중순 시행
쿠폰 사용처, 이커머스·백화점 등 제외 가능성


새 정부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예고한 가운데 쿠폰 사용처에 대해 유통 업태별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사진은 지난 4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채소류 매대를 살펴보고 있는 소비자 모습 /뉴시스

새 정부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예고한 가운데 쿠폰 사용처에 대해 유통 업태별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사진은 지난 4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채소류 매대를 살펴보고 있는 소비자 모습 /뉴시스


[더팩트|우지수 기자] 정부가 전 국민을 대상으로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면서 내수 진작 효과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다만 쿠폰 사용처에서 대형마트나 백화점, 온라인쇼핑몰 등이 제외될 가능성이 높아 유통업계 반응이 엇갈린다.

2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7월 중순부터 지급될 예정인 소비쿠폰을 어디에서 쓸 수 있느냐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는 소득과 지역에 따라 국민 1인당 최소 15만원에서 최대 52만원까지 소비쿠폰을 지급할 계획이다. 쿠폰은 지역사랑상품권, 선불카드, 신용·체크카드 형태로 지급되며 약 13조원 규모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번 소비쿠폰은 두 차례에 걸쳐 지급된다. 1차로는 모든 국민에게 15만원이 지급되며 차상위계층과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는 각각 30만원, 40만원을 받는다. 이후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국민에게 10만원이 추가 지급된다. 농어촌과 인구소멸지역 거주자는 1인당 2만원을 더 받는다.

정부는 지역 상권을 중심으로 사용처를 제한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과거 재난지원금 사례처럼 전통시장, 동네마트, 편의점, 학원, 약국 등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대형 유통 채널은 제외될 수 있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과거와 같은 기준이 이번 소비쿠폰에도 적용될 경우 유통업계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전망된다. 쿠폰을 쓸 수 있는 업장은 직접적인 매출 증가를 기대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매출 반등 기회가 적다.

소비쿠폰의 주요 수혜 업종으로는 편의점이 꼽힌다. 지난 2020년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에도 편의점 결제 비중이 크게 늘었다. 특히 1인 가구를 겨냥한 소포장 축산물과 음료 등의 판매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가전양판점도 소비 진작 업태로 거론된다. 정부는 고효율 가전제품을 구매할 경우 최대 30만원을 환급하는 정책도 병행하기로 했다.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TV 등 11개 품목이 해당되며, 하반기 폭염과 맞물려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관련 업체들은 정책과 맞물려 활용할 수 있는 프로모션을 검토 중이다.

반면 대형마트, 백화점, 복합쇼핑몰, 홈쇼핑, 이커머스 등 채널은 소비쿠폰 사용처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다. 이들 업계는 그간 정부의 지원금 정책에서 배제돼 왔다. 지원 대상에서 반복적으로 제외되면 소비 진작 효과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있다.

이 같은 사용처 제한은 소상공인 중심의 내수 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정책 기조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정부는 소비쿠폰이 지역 기반 자영업자들의 매출 회복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유통 채널을 선별하고 있다. 하지만 주요 채널을 배제할 경우 정책 효과가 제한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생필품이나 생활가전처럼 일상 소비 비중이 높은 품목일수록 대형마트나 이커머스를 통한 구매 비중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유통업계 일각에서는 정책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보다 유연한 사용처 설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국민의 소비 행태를 반영하지 않으면 쿠폰이 소비로 직결되지 않을 수 있다"며 "소비가 많이 일어나는 유통 채널도 정책 범위에 포함시키는 등 조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index@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