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300]
![]() |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06.24. /사진=고승민 |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의 인사청문회 첫날은 후보자의 자금 출처와 중국 칭화대 석사 학위 취득 과정에서의 출입국 내역, 자녀의 대입을 지원했다는 '아빠 찬스' 논란 등에 대한 검증에 초점이 맞춰졌다.
국회 국무총리 인사청문특별위원회는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김민석 후보에 대해 인사청문회를 진행했다. 25일까지 이틀간 진행되는 인사청문회 첫날 김 후보자는 최근 5년 동안 지출이 세비 수입보다 6억원 이상 많다는 주장 등에 대해 처가로부터 생활비를 지원받은 사실을 공개하는 등 적극 해명했다.
국민의힘에 따르면 김 후보자는 최근까지 과거 정치자금법 위반 사건 유죄 확정으로 부과받은 추징금과 증여세 등 11억여원을 납부했다. 국민의힘은 김 후보자가 제21대 국회에 입성한 이후 국회의원으로 받은 세비 수입이 5억여원에 그친다는 점을 들어 수입보다 지출이 과도하게 많다고 공세를 폈다.
김 후보자는 '국민의힘에서는 김 후보자의 수입과 지출에 관해 6억원의 출처를 대라는 식으로 얘기한다'는 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축의금, 조의금, 출판기념회 2번, 장모로부터 생활비 지원을 받은 것 정도가 총체적으로 모여 구성됐다"고 밝혔다.
그는 "조의금, 출판기념회 각각이 1억에서 1억5000만원 정도 되는 것 같고 결혼 축의금을 받았을 때는 그 액수를 사실 (아내) 친정집에 그냥 다 드렸다"고 했다. 그러면서 "아내가 생활비가 부족해서 그때그때 200만~300만원씩 (친정에) 손을 빌려서 도움을 받은 것들이 한 5년 정도 합쳐보니까 2억원 정도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2024년 당시에는 한 달 만에 추징금을 어떻게 갚았냐'는 질의에는 "2024년 그때가 선거가 있는 해여서 1억8000만원 정도를 대출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대출금에 대해서는 "이후 선거보전비 등으로 대출을 상환했다"고 덧붙였다.
처가로부터 생활비 2억원을 지원받은 과정에서 발생한 증여세 역시 최근 처리했다고 설명했다. 김 후보자는 '배우자가 어머니로부터 2억원 정도를 받는 과정에서 증여세 신고는 되어 있었느냐'는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증여세를 처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김 후보자는 "이번 (청문회 준비) 과정에서 (확인해보니) 총액이 제법 돼서 그에 대해서 증여세 처리를 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인사청문회 직전에 처리가 됐느냐'는 질문에는 "그렇다"고 답했다. 그는 "사실 저렇게 (아내가 어머니에게) 손을 빌렸다는 것도 잘 몰랐다"고도 했다.
국민의힘은 '쪼개기 후원 의혹'도 제기했다. 김 후보자는 2018년 4월 11명으로부터 1억4000만원을 빌린 뒤 갚지 않다가 최근에 상환했다. 이 가운데 4000만원을 빌려준 민주당 지역위원장 출신 강모씨는 2008년 김 후보자에게 불법 정치자금을 건넨 3명 중 1명이기도 하다.
김 후보자는 '1억4000만원을 빌렸을 때는 야인이었지요'라는 전 의원의 말을 듣고 "그렇다. (신용불량 상태여서) 가까운 지인들에게 소액으로 나눠서 하는 방식 외에는 금융기관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며 "공직자가 아니었고 사인이었는데 불법 정치자금을 받을 거였으면 차용증도 없었겠죠"라고 말했다.
![]() |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자료를 살피고 있다. 2025.6.24/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안은나 기자 |
김 후보자의 장남이 고교 동아리 활동 중 내놓은 표절 방지 법안이 실제 국회에서 발의된 것과 관련, 김 후보자는 "대학 진학 활동 중에 국회와 관련된 입법 청원이 활용되었는가는 명확히 아니라는 사실을 말씀드렸다"고 했다. 또 '장남이 고3 때 휴학한 기록 없이 홍콩대에서 연구 인턴을 했다'는 국민의힘의 의혹 제기에 대해선 "그 사안에 대해 질문한 언론에 해당 해외 대학의 교수가 실제로 인턴을 했다는 것을 이메일로 보내줬다"고 반박했다.
김 후보자는 '칭화대 재학을 위한 중국 체류 기간이 최대 26일로 법학 석사 취득을 위해서는 부족하다'는 김희정 국민의힘 의원의 주장에는 "148일 체류가 돼 있는 것을 말씀드릴 수 있다"고 했다.
아울러 칭화대에서 석사 학위를 받은 논문에 대해 김희정 의원이 "(논문 표절 검사 프로그램인) 카피킬러에 논문 문장을 그대로 복사, 붙여넣기를 했더니 (표절률이) 41%로 나왔다"고 지적하자 김 후보는 " "주석(을 다는 것)이나 옮겨쓰기에 있어서 부족함이 있을 수 있다. (인용이 미숙했다는 점을) 인정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다른 학자들이 쓴 복수의 논문과 김 후보자의 논문을 비교하며 "각주부터 점 하나까지도 복사, 붙여넣기를 했다"라거나 "전체 페이지를 그대로 복사해 붙여넣기를 했다"라고 지적했다. 또 "표절 예방교육까지 하시겠다고 법안을 내신 분이라 교육부 가이드라인의 표절 기준을 잘 아시리라 생각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는 "엄격한 논문 작성에 대한 훈련을 제대로 받지 않았다"며 "그 점에 대해서는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김 후보자는 '내년 6월 지방선거가 있는데 총리로 임명된 뒤 서울시장에 도전할 생각이 있는가'라는 취지의 곽규택 국민의힘 의원의 질문에 "이미 제 마음도 그리 정했고, 대통령님께도 이 직(총리)이 제 마지막일 수 있다는 생각으로 전력투구하겠다는 말씀을 드렸다"고 답했다.
정경훈 기자 straight@mt.co.kr 세종=최민경 기자 eyes00@mt.co.kr 김지은 기자 running7@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