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JTBC 언론사 이미지

'전쟁' 내세워 이례적 임명…정작 박안수는 '전방부대 차출' 검토

JTBC
원문보기

'전쟁' 내세워 이례적 임명…정작 박안수는 '전방부대 차출' 검토

속보
'삼부토건 주가조작' 이일준·이응근 구속영장 발부
'합참의장은 전시에 계엄사무 도맡기 어렵다'
육군참모총장 계엄사령관 임명한 '윤의 논리'


[앵커]

윤 전 대통령은 또 전쟁이 나면 합참의장이 대비해야 하기 때문에 육군참모총장에게 계엄사령관을 맡겼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런데 당시 계엄사령관은 전방 부대 병력까지 빼내 국회에 투입하려 하는 등 앞뒤가 맞지 않는 정황이 많습니다.

이어서 김혜리 기자입니다.

[기자]

12·3 비상계엄 당시 계엄사령관은 합참의장이 아니라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이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전쟁'을 내세워 이례적 임명을 정당화하려 했습니다.


군령권이 합참의장에게 있어, 전시엔 합참의장이 계엄사무를 도맡기 어렵다는 논리입니다.

윤 전 대통령은 "북한과 대치된 나라에서는 합참의장이 각군을 지휘해서 유사시를 대비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전면전이 아니라 국지전이라도 벌어진다면 합참의장은 계엄사령관을 할 수 없다"고도 했습니다.


계엄실무편람에는 '계엄을 예방적으로 선포할 수 없다'고 돼 있지만 매뉴얼을 꼭 지켜야 하는 건 아니라며 '평화적 메시지 계엄'이었다는 주장도 되풀이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탄핵심판 등에서 '경고성 계엄'을 강조하며 오히려 계몽령이란 주장을 해왔습니다.

[김계리/윤석열 전 대통령 대리인 (지난 2월 25일) : 저는 계몽됐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합참의장의 전시 역할까지 거론했지만 박안수 계엄사령관은 당시 전방부대 인원 차출을 고려했던 거로 파악됐습니다.

"국회에 있는 병력들이 밀린다고 한다"면서 "전방에 있는 부대에서 병력을 빼야 할 것 같은데 검토해 보자"고 계엄상황실에 모인 참모들에게 지시한 겁니다.

또 계엄 당시 구삼회 육군 2기갑여단장은 판교에 있는 정보사 사무실에서 대기중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탱크를 모는 부대까지 동원하려 했다는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유사시 북 수뇌부 제거 임무를 맡는 707특임단 등 대테러 부대원들은 국회에 실제로 투입됐습니다.

[영상취재 이주원 / 영상편집 박수민 / 영상디자인 조승우]

김혜리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