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매일경제 언론사 이미지

경제부총리엔 정통 관료, 산업장관엔 기업인 무게

매일경제 홍혜진 기자(hong.hyejin@mk.co.kr)
원문보기

경제부총리엔 정통 관료, 산업장관엔 기업인 무게

속보
경기 가평 호우경보...포천 고양 양주 등 호우긴급재난문자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23일 11개 장관직 인선을 단행하면서 잔여 8개 부처에 대한 후속 인사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법무부 등 부처 개편을 앞두고 있거나 핵심 국정과제를 수행할 주요 부처 수장이 아직 공석인 가운데, 대통령실이 남은 인선에서도 현장 경험이 풍부한 기업인과 관료를 중용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가장 주목받는 자리는 경제사령탑인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이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는 가운데, 미국이 원화 절상을 압박하면서 대외 환율 리스크에 대한 대응이 기재부의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통령실 안팎에선 관련 업무에 정통한 관료 출신이 적임자라는 인식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여권 관계자는 "기재부 장관 인선과 관련해 최근 대통령실 기류가 외환시장 변동성이 큰 상황에서 대외 변수에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는 관료 출신 인사에 주목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에 따라 이억원 전 기재부 1차관, 이호승 전 청와대 정책실장, 구윤철 전 국무조정실장 등 관료 출신들이 유력 후보군으로 오르내리고 있다. 이억원 전 차관은 문재인 정부에서 기재부 경제정책국장과 청와대 경제정책비서관을 지낸 뒤, 기재부 1차관으로 환율 등 경제 전반을 조율한 경험이 있다. 이호승 전 실장은 문재인 정부에서 기재부 1차관을 지낸 뒤 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과 정책실장을 지내며 거시정책과 대외경제를 모두 다뤘다. 구윤철 전 실장은 기재부 2차관을 지내는 등 예산 분야에 강점을 가진 인물이다. 구 전 실장의 경우 신설 예산처 수장으로 기용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관가와 정치권 일각에선 "정치인 출신도 거론되고 있지만, 최근 대미 통상·환율 협상 등 실무적 이슈가 부각되면서 관료 쪽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라는 반응이 나온다. 김태년, 정성호 등 여권 내 다선 의원들도 후보군에 포함돼 있다.

산업부 장관 인선과 관련해서는 현직 기업인 출신을 포함해 폭넓은 후보군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간기업 경영자, 연구기관 출신 등이 함께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산업부는 반도체·인공지능(AI)·에너지 전환 등 주요 산업을 총괄하는 부처로 대미 통상 협상 주무부처인 만큼 전문성과 현장 감각을 겸비한 인물을 발탁하는 게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국토부 장관 자리에는 국토부 차관을 지낸 손명수·맹성규 민주당 의원과 윤후덕 민주당 의원, 김세용 전 경기주택도시공사(GH) 사장 등의 이름이 거론된다.

법무부 장관 인선도 관심을 끄는 대목이다. 박균택, 이건태 등 민주당 소속 법조인 출신 의원과 함께, 윤호중 의원 등 비법조계 출신 인사의 이름도 함께 거론된다.

정부조직법 개편을 통해 사회부총리로 격상될 가능성이 거론되는 행정안전부 장관 인선 역시 주목된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와 이해식 민주당 의원 등이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보건복지부 장관으로는 정은경 전 질병관리청장이, 교육부 장관으로는 관료 및 교육행정 전문가들이 물망에 오르고 있으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로는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홍혜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