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남북관계관리단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24일 통일부라는 부처 이름을 바꾸는 것도 검토할 단계가 됐다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24일 인사청문회 준비를 위해 서울 삼청동 남북관계관리단으로 출근하는 길에 기자들과 만나 “일단 평화를 정착하는 것이 5천만 국민의 지상명령이고 지상과제”라며 “평화와 안정을 구축한 토대 위에서 통일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에 통일부 명칭 변경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정 후보자의 발언은 단절된 남북관계를 복원하려면 변화한 한반도 정세에 대한 인정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현실주의’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앞서 북한이 2023년 말 남북관계를 ‘적대적인 두 국가’ 관계로 규정한 뒤 정부 안팎에선 북한과 대화를 재개하려면 통일부도 부처명에서 ‘통일’을 뺄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정 후보자는 이날 독일의 브란트 정권이 동독과 화해 정책을 추진하면서 한국의 ‘통일부’ 명칭에 해당하는 ‘전독부’를, 동·서독관계부를 뜻하는 ‘내독부’로 변경한 사례를 언급하며 “통일은 마차이고 평화는 말에 해당하는데 마차가 말을 끌 수는 없고 말이 앞에 가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통일부의 첫번째 과제로는 남북 간의 소통 부재 상황 해소를 꼽았다. 정 후보자는 “남북이 6년간 완전히 단절됐다”면서 “연락 채널을 복원하고 우발적 충돌을 막는 것이 급선무”라고 밝혔다. ‘한반도 평화 특사’로 나서 북한과 직접 접촉을 시도할 것이냐는 물음에는 “(장관) 인준이 되면 차근차근 방법론에 대해서 그림을 그려보겠다”며 즉답을 피했다.
정 후보자는 “윤석열 정부 3년 동안 완전히 단절된 채 일촉즉발의 위기”였던 남북관계가 전단살포 중지 요청과 대북확성기 방송 중지, 그리고 북한의 대남방송 중지로 달라진 세상을 맞았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대북전단은 남북 갈등의 촉매제였다”며 “대북 전단을 살포해온 단체들이 살포를 중지하기로 한 것을 높이 평가한다”고 했다. 정 후보자는 대북 전단 살포를 주도해온 납북자가족모임의 최성용 대표와 이날 오전 직접 통화한 사실을 공개한 뒤 “전단 살포를 재검토한다는 결단을 한 것을 높이 평가하고 만나서 구체적 얘기를 하기로 소통했다”고 밝혔다.
북한이 남북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로 규정한 상태에서 북한과 연락 채널 복원이 가능하냐는 질문에는 “이렇게 된 것은 윤석열 정부 시절의 일이고, 이제 윤석열 정부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면서 “새 정부와 함께 새로운 남북 관계의 정립을 모색하는 것이 그래서 중요하다”고 답했다.
북-미관계와 관련해선 “2018년 6월12일 (북한과 미국의) 싱가포르 합의가 존중되어야 하고, 2019년 2월 28일 하노이 담판의 결렬은 대단히 유감스럽고 이것을 방해한 네오콘들의 책임이 무겁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 연장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정상회담은 이루어질 것이고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그것이 한반도의 긴장 완화와 평화 안정에 큰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에 지지한다”고 말했다.
미국과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공격이 북한 핵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한반도에서 영원히 전쟁의 가능성을 추방하는 것이 우리가 해야 할 일”이라며 “북한 핵 문제 역시 평화적인 방법으로 외교적인 수단을 동원해서 대화를 통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이고, 어떤 경우에도 무력에 의한 해결, 전쟁을 통한 해결 그건 상상할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의 러시아 파병으로 우크라이나에 포로로 잡혀 있는 북한군 병사들을 한국으로 데려올 것인지에 대해선 “굉장히 예민한 문제”라면서 “숙고해보겠다”고 했다.
정 후보자는 노무현 정부 시절 제31대 통일부 장관을 역임했고, 20여년 만에 다시 통일부 장관 후보자로 돌아왔다.
박민희 선임기자 minggu@hani.co.kr
▶▶[한겨레 후원하기] 시민과 함께 민주주의를!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