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더팩트 언론사 이미지

"토니상 6관왕, 기쁘고 감사"…박천휴 작가가 밝힌 '어쩌면 해피엔딩'의 모든 것(종합)

더팩트
원문보기

"토니상 6관왕, 기쁘고 감사"…박천휴 작가가 밝힌 '어쩌면 해피엔딩'의 모든 것(종합)

속보
일본 혼슈 동북부 이와테현서 1.3m 쓰나미 관측

오늘(24일) 토니 어워즈 6관왕 기념 기자간담회 진행
박천휴 작가 "부담감 있지만 지금 하던 대로 작품 쓸 것"


박천휴 작가가 24일 오후 서울 중구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서 열린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 제78회 토니상 6관왕 기념 기자 간담회에 참석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서예원 기자

박천휴 작가가 24일 오후 서울 중구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서 열린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 제78회 토니상 6관왕 기념 기자 간담회에 참석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서예원 기자


[더팩트|박지윤 기자] '어쩌면 해피엔딩'이 토니 어워즈에서 6관왕을 달성하며 전 세계를 무대로 한국 뮤지컬의 위상을 드높였다. 놀라운 기록의 중심에 선 박천휴 작가는 기쁨을 만끽하면서도 지금처럼 우직하고 묵묵하게 자신의 글을 써 내려가겠다는 각오다.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 제78회 토니 어워즈(Tony Awards) 6관왕 기념 기자간담회가 24일 오후 서울 명동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서 진행됐다. 현장에는 박천휴 작가와 한경숙 프로듀서가 참석해 취재진의 질의응답에 임하며 다양한 이야기를 전했다.

2024년 11월 뉴욕 벨라스코 극장에서 개막한 '어쩌면 해피엔딩' 브로드웨이 공연은 지난 8일(현지시간) 열린 제78회 토니 어워즈에서 작품상과 연출상, 남우주연상, 각본상, 음악상, 무대 디자인상 등 총 6개 부문 수상의 쾌거를 달성했다.

1947년에 시작된 토니어워즈는 미국 공연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시상식으로, 브로드웨이의 500석 이상 극장에서 공연된 그해 신작을 대상으로 한다. 영화계의 아카데미 어워즈와 방송계의 에미 어워즈 음악계의 그래미 어워즈와 함께 미국 4대 예술상 중 하나로 꼽힌다.

'어쩌면 해피엔딩' 브로드웨이 공연이 제78회 토니 어워즈에서 작품상과 연출상, 남우주연상, 각본상, 음악상, 무대디자인상 등 총 6개 부문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작품 포스터

'어쩌면 해피엔딩' 브로드웨이 공연이 제78회 토니 어워즈에서 작품상과 연출상, 남우주연상, 각본상, 음악상, 무대디자인상 등 총 6개 부문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작품 포스터


이 가운데 '어쩌면 해피엔딩'의 6관왕은 한국 작가가 집필하고 한국에서 초연됐으며 한국을 배경으로 한 창작 뮤지컬이 낸 최초의 사례로 더욱 뜻깊은 의미를 지닌다. 이에 박천휴 작가는 "기쁘고 감사한 마음이다. 식탁 위에 올려둔 트로피를 보면서 아침을 먹었는데 너무 신기하더라"며 "상징적인 트로피가 제 초라한 뉴욕의 집에 있다는 것 자체가 너무 신기했다. 상의 무게감을 느끼면서 앞으로 더 열심히 하는 창작자가 돼야겠다는 생각도 들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앞서 '어쩌면 해피엔딩' 브로드웨이 공연은 뉴욕 드라마 비평가 협회상에서 뮤지컬 작품상을, 드라마 리그 어워즈에서 뮤지컬 작품상·연출상을, 외부 비평가 협회상에서 브로드웨이 신작 뮤지컬상·작사작곡상·극본상·연출상을, 드라마 데스크 어워즈에서 뮤지컬 작품상·음악상·작사상·극본상·연출상·무대 디자인상을, 도리안 시어터 어워즈에서 브로드웨이 뮤지컬상을 받는 등 주요 시상식에서 좋은 성과를 거뒀다.


이에 힘입어 '어쩌면 해피엔딩'은 토니어워즈에서 6관왕을 달성하며 모든 주요 시상식에서 작품상 등 핵심 부문을 석권했다. 당시 상황을 회상한 박 작가는 "저와 윌 애런슨은 기대하지 않으려고 애를 쓰는 성격이다. 무언가를 기대했다가 안 됐을 때의 실망감을 두려워하는 편이다. 그래서 후보에 들었을 때 기뻤지만 기대하지 않으려고 했다"며 "시상식 당일은 너무 정신없었고 마라톤 같았다. 기쁘면서도 당황스러웠다. 내가 이 상을 받아도 되는 건지 싶으면서도 다 끝났으니까 편하게 잘 수 있겠다는 기대감도 있었다. 복잡 미묘했다"고 솔직하게 털어놨다.

'어쩌면 해피엔딩'은 근 미래의 서울을 배경으로 인간을 돕기 위해 만들어진 헬퍼봇 올리버와 클레어가 사랑이라는 감정을 알아가는 과정을 그린 뮤지컬로, 박천휴와 윌 애런슨이 공동 작업했다. 작품은 2014년 구상을 시작으로 2015년 트라이아웃 공연, 2016년 국내 초연을 거쳐 2024년까지 총 다섯 시즌 공연됐고 2020년 일본, 2021년 중국에서도 공연됐다.

박천휴 작가(가운데)는 "기쁘고 감사한 마음"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서예원 기자

박천휴 작가(가운데)는 "기쁘고 감사한 마음"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서예원 기자


이날 박천휴 작가는 '어쩌면 해피엔딩'의 출발점을 밝혀 관심을 모았다. 그는 "오랫동안 교제했던 사람과 헤어지고 친한 친구 중 한 명이 암으로 8개월 만에 세상을 떠난 시기가 있었다. 그때 '이들을 좋아하지 않았다면 상처도 받지 않았을 텐데'라고 생각했었다"고 회상했다.


이어 박 작가는 "그러다가 카페에서 제가 좋아하는 싱어송라이터의 신곡을 들었는데 가사가 외로워진 인간을 로봇에 비유하는 것이었다. 그때 주변을 둘러보니 다 핸드폰이나 노트북만 보더라. 건너편에 있는 사람보다 스크린을 더 들여다보는 세상이 됐다는 걸 깨달으면서 로봇을 주인공으로 제가 겪고 있는 이별과 상실의 아픔을 쓰면 어떨까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덧붙였다.

'어쩌면 해피엔딩'이 브로드웨이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건 작품의 구상 초기부터 현지화를 염두에 두고 접근한 월·휴 콤비의 오랜 열정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2016년 뉴욕 낭독 공연을 시작으로 2020년 애틀랜타 트라이아웃 공연을 거쳐 팬데믹을 지나 2024년 11월 뉴욕 브로드웨이 개막까지 현지화에 맞게 작품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온 것. 그 결과 한국을 배경으로 한 오리지널 스토리라는 핸디캡에도 불구하고 '반딧불이'로 불리는 팬덤이 형성됐고 SNS를 중심으로 빠르게 흥행 궤도에 올랐다.

이민자로서 많은 어려움도 겪었다는 박천휴 작가는 "저는 이들의 일부분이 아닌 이방인이 될 수밖에 없었다는 생각을 정말 많이 했었다. 다 포기하고 한국에 가는 게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했는데 이걸 견뎌내니 어느 순간 좋은 분들을 만나면서 좋은 기회도 얻게 됐다"며 "또 한국 관객들이 너무 공감해 줬던 경험 덕분에 미국에서도 제 의견을 고집할 수 있었다. 한국 관객들이 제 원동력이었다"고 남다른 소회를 밝혔다.


그렇다면 박천휴 작가가 바라보는 '어쩌면 해피엔딩' 브로드웨이 공연의 성공 비결은 무엇일까. 그는 "결과가 좋으니까 말씀드릴 수 있는 건데 사실 처음에는 유명한 원작이 없고 티켓 파워가 있는 배우가 아니라는 점 등 때문에 이 작품이 성공하지 못할 것 같다는 의견이 더 컸다. 그런데 이러한 것들이 더 참신하게 다가온 게 아닌가라는 생각을 한다"고 설명했다.

한국 뮤지컬의 역사를 새로 쓴 '어쩌면 해피엔딩'의 10주년 기념 공연은 10월 30일부터 2026년 1월 25일까지 두산아트센터 연강홀에서 공연된다. /서예원 기자

한국 뮤지컬의 역사를 새로 쓴 '어쩌면 해피엔딩'의 10주년 기념 공연은 10월 30일부터 2026년 1월 25일까지 두산아트센터 연강홀에서 공연된다. /서예원 기자


'토니어워즈 수상'이라는 기록은 영광스러우면서도 다음 행보에 많은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는 것이기도 하다. 이에 박천휴 작가는 "부담이 없다면 거짓말이지만 그 부담감에 눌리다 보면 자연스럽지 못한 작품을 쓰게 될 것 같다. 정말 다행히도 저에게는 윌이라는 창작 파트너가 있기에 지금 하던 대로 서로 보완하면서 작품을 쓸 생각"이라고 덤덤하게 말했다.

이와 함께 그는 앞으로의 행보도 언급해 이목을 집중시켰다. 박 작가는 "구상하고 있는 게 몇 가지 있는데 말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 제 에너지가 소진되기 전에 발전시키고 싶다"며 "또 '일 테노레'와 '고스트 베이커리'가 빠른 시일 내로 다시 한국 관객들과 만나길 바라고 해외 관객들에게도 선보이고 싶다"고 덧붙였다.

한국 뮤지컬의 위상을 드높이고 돌아온 '어쩌면 해피엔딩'의 10주년 기념 공연은 오는 10월 30일부터 2026년 1월 25일까지 두산아트센터 연강홀에서 공연된다. 이와 관련해 한경숙 프로듀서는 "한국 공연은 브로드웨이 공연의 지침서라고 생각한다"며 "지난 10주년을 돌아보면서 아쉬웠던 부분들을 보완하려고 한다. 작품이 갖고 있는 한국 정서와 감정을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아이디어를 함께 보여주려고 애쓰고 있다"고 귀띔해 기대감을 높였다.

jiyoon-1031@tf.co.kr
[연예부 | ssent@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