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이 지구온난화를 완화하기 위해 기후위기대응, 탄소감축을 지속가능발전의 주요 추진목표로 설정하면서 기후테크란 말이 국가정책, 기업 경영에 들어와 그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다. 기후테크는 기후(Climate)와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온실가스와 오염물질 배출감축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혁신 기술을 의미한다.
엄청난 탄소 배출로 신음하는 지구를 살리자는 글로벌 캠페인이 확산되면서 기후테크는 금세기 들어 가장 주목받는 기술로 부상했다. 극심한 가뭄과 홍수가 수시로 지구를 강타하는가하면 극지의 빙하가 녹아내리고 태평양 도서국들이 침몰위기에 처해 나라 자체가 다른 지역으로 이사가야할 상황 등은 지구 파괴를 막고 지구 생태계를 회복시킬 수 있는 기후테크의 중요성을 말해준다.
이제 발아기를 지난 국내 기후테크 기업들은 성장과 도약을 위한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전환기를 맞은 기후테크 기업들을 찾아 그들의 기술개발 등 전략과 실적-목표 등 운용 상황을 시리즈로 싣는다. (편집자 주)
엄청난 탄소 배출로 신음하는 지구를 살리자는 글로벌 캠페인이 확산되면서 기후테크는 금세기 들어 가장 주목받는 기술로 부상했다. 극심한 가뭄과 홍수가 수시로 지구를 강타하는가하면 극지의 빙하가 녹아내리고 태평양 도서국들이 침몰위기에 처해 나라 자체가 다른 지역으로 이사가야할 상황 등은 지구 파괴를 막고 지구 생태계를 회복시킬 수 있는 기후테크의 중요성을 말해준다.
이제 발아기를 지난 국내 기후테크 기업들은 성장과 도약을 위한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전환기를 맞은 기후테크 기업들을 찾아 그들의 기술개발 등 전략과 실적-목표 등 운용 상황을 시리즈로 싣는다. (편집자 주)
![]() |
폐전력을 유효전력으로 바꾸는 ESP 기술 (이미지=에너사인코퍼레이션 제공) |
![]() |
[SDG7 친환경에너지] 에너사인코퍼레이션은 버려지는 폐전력을 발전전력으로 변환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이다. 기후테크 중에서도 클린테크 기업에 속해있다. 클린테크(Clean Tech)는 재생에너지 생산 및 분산화에 초점을 맞춘 기술로, 에너지 저장장치 연구나 수소에너지 연료전지 등 대체 에너지원 발굴을 주력으로 한다.
에너사인코퍼레이션은 기존 발전 시스템에서 버려지는 미사용 전력을 회수해 유효전력으로 전환함으로써 총 가용 발전량을 증가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기술은 산업용 설비나 대규모 전력망에서 전력 손실을 줄이고 효율을 극대화하는데 효과적이다.
전력설비나 기기에서는 항상 일정량의 전력이 연률이 낮거나 불안정한 형태로 발생하는데, 이는 사용되지 못하는 버려지게 된다. 태양광 발전기도 하루 발전시간 중 3~4시간만 발전전력을 사용할 수 있으며, 나머지 시간의 전기는 버려진다. 에너사인코퍼레이션의 '폐전력 변환기 ESP'는 이러한 폐전력을 전력망 또는 개별 설비에서 감지해 분기 회로를 통해 수집한다.
그러나 수집된 폐전력은 대부분 고주파 성분이 포함돼있어 그대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ESP는 이 전력을 주파수 변환, 파형 정제, 위상 보정 등을 통해 정상적인 교류 파형(AC) 또는 직류 전력으로 변환시킨다. 이렇게 정제된 전력은 실시간 부하에 재공급해 기존 전력 공급망을 보완하거나 축전지 등에 저장돼 피크 전력을 보완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ESP는 원래 100kW 중 80kW만 사용되고 20kW가 폐전력이었다면, 이를 90~95kW까지 사용 가능할 수 있도록 총량을 증가시켜주는 것이다.
에너사인코퍼레이션은 폐전력 제어 기능 구현을 위해 다중 채널방식의 전력변환 방식을 구현했고, AI 알고리즘을 이용해 환경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최적화할 수 있게 했다. 날씨정보와 발전기 구성에 따라 다르게 전력을 변환할 수 있는 것이다.
전압이 낮은 저전력은 사용하지 못한다는 고정관념을 뒤바꾼 에너사인코퍼레이션. 앞으로 ESP는 친환경 에너지를 확보하고 높은 효율의 재생발전기를 보편화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새어나가는 전력도 다시보자. 에너사인코퍼레이션의 기술을 기대한다.
SDG뉴스 함지원 기자
< Copyright SDG뉴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