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외교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조현 전 유엔대사가 24일 오전 청문회 준비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종로구 세종로대우빌딩으로 출근하고 있다. 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는 “한반도의 평화가 정착되는 것이 이재명 정부의 외교·통일 정책의 우선순위 중 하나”라고 말했다.
조 후보자는 24일 서울 종로구 대우빌딩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첫 출근을 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조 후보자는 ‘이재명 대통령이 북미 간 대화를 지원하겠다고 과거에 말씀하신 적이 있다’는 기자들의 질문에 “외교부는 그런 대통령의 철학에 맞춰 미국과 다른 우방들과 긴밀하게 협조해 걸림돌이 없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평화와 번영을 추구하는 게 외교인데, (지금처럼) 매우 어려운 상황에서 북한 문제는 여러 부처가 숙고하고 협의해 합의점을 잘 찾아서 조심스럽게 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조 후보자는 취임하면 가장 먼저 방미길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그는 “취임하면 미국부터 가야 한다는 고정관념에서 우리는 벗어나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자연스럽게 그렇게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미 동맹과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통상 압박 등 한미동맹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이재명 정부가 그동안 표방해온 실용외교에 따라 전략을 잘 짜서 차분하게 현명하게 조용하게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일 관계에 대해서는 “첫 정상회담에서 이재명 대통령께서 아주 입장을 잘 정해주셨다”며 ”한일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면서 문제가 있는 것들은 조용한 외교를 통해서 해결해 나가면서 해나가야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러시아와의 외교에 대해서는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조 후보자는 “매우 조심스러운 이슈라고 생각한다”며 “그래서 다른 외교의 중요한 사안과 함께 검토해야 될 것이다. 물론 중국과 관계가 중요하지 않다는 게 아니라 다른 중요한 사안과 함께 검토하고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이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정상회의에 불참하고 위성락 안보실장이 참가하기로 한 결정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최선의 결정을 내렸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
▶▶[한겨레 후원하기] 시민과 함께 민주주의를!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