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기술의 주도권으로 소프트웨어가 주목받고 있다. 차량이 도로를 달리기 위해, 법이 요구하는 사이버보안 요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세계 각국은 소프트웨어 기반 차량의 보안을 법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는 보안 기술을 ‘선택’이 아닌 의무 탑재 항목으로 바꿔 놓았다. 자동차는 이제 보안 규제를 통과해야만 운행 가능한 ‘규제 기반 기기’로 변모하고 있다.
이처럼 차량 내 소프트웨어가 핵심이 되면서, 이를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관리하기 위한 국제 표준 플랫폼도 등장했다. 그중 하나가 바로 오토사(AUTOSAR, Automotive Open System Architecture)다. 이는 차량 내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 소프트웨어를 표준화해, 개발 효율성과 호환성을 높이기 위한 국제 공동 개발 플랫폼이다. 많은 완성차 제조사들이 이를 채택하고 있지만, 오토사는 기능 안전 중심의 구조로 보안 규제까지 아우르기에는 한계가 있다.
실제로 글로벌 보안 규제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보안 모듈(HSM, Hardware Security Module)이나 신뢰 실행 환경(TEE,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과 같은 고신뢰 보안 요소가 필수다. 또한, 차량 간 통신 보안(V2X), 디지털 키 보호,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 Over-the-Air) 보안 등은 오토사 구조 바깥에서 별도로 구현돼야 한다. 더욱이, 전 세계 차량의 약 40%는 오토사 기반이 아니기 때문에, 오토사만으로는 시장 전체의 보안 수요를 충족하기 어렵다.
이처럼 차량 내 소프트웨어가 핵심이 되면서, 이를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관리하기 위한 국제 표준 플랫폼도 등장했다. 그중 하나가 바로 오토사(AUTOSAR, Automotive Open System Architecture)다. 이는 차량 내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 소프트웨어를 표준화해, 개발 효율성과 호환성을 높이기 위한 국제 공동 개발 플랫폼이다. 많은 완성차 제조사들이 이를 채택하고 있지만, 오토사는 기능 안전 중심의 구조로 보안 규제까지 아우르기에는 한계가 있다.
실제로 글로벌 보안 규제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보안 모듈(HSM, Hardware Security Module)이나 신뢰 실행 환경(TEE,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과 같은 고신뢰 보안 요소가 필수다. 또한, 차량 간 통신 보안(V2X), 디지털 키 보호,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 Over-the-Air) 보안 등은 오토사 구조 바깥에서 별도로 구현돼야 한다. 더욱이, 전 세계 차량의 약 40%는 오토사 기반이 아니기 때문에, 오토사만으로는 시장 전체의 보안 수요를 충족하기 어렵다.
자동차 내부 통신 보안이 차량 제어 시스템을 보호하는 역할이라면, 외부 통신 보안의 핵심은 V2X(Vehicle-to-Everything, 차량과 모든 사물 간 통신)이다. 자율주행차는 카메라나 라이다 센서를 통해 주변 환경을 인식하지만, 물리적 사각지대나 돌발 상황을 완벽하게 감지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를 보완하는 기술이 V2X로, 차량 간(V2V, Vehicle-to-Vehicle) 또는 차량과 도로 인프라 간(V2I, Vehicle-to-Infrastructure)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주고받아 자율주행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인다.
미국, 유럽, 중국은 이미 V2X 기술에 대한 보안 인증 체계를 본격화하고 있으며, 자동차 소프트웨어 선도기업 아우토크립트는 이를 선도적으로 대응, 글로벌 주요 시장에 V2X 보안 솔루션을 상용화해 왔다. 특히 아우토크립트는 국내외 테스트베드에서 차량용 통신 장비(OBU, On-Board Unit)와 도로 측 통신 장비(RSU, Roadside Unit) 간의 상호운용성과 보안 연동을 검증하고, 다국적 장비 업체들과의 협업 및 미국 연방교통부 산하 기관과의 공동 프로젝트 등을 통해 기술력과 글로벌 신뢰도를 입증하고 있다.
나아가 아우토크립트는 5세대 이동통신(5G)을 기반으로 한 V2X 통신 모뎀 기술까지 포함하는 수직적 기술 연계를 선제적으로 추진해왔다. 특히 셀룰러 V2X(C-V2X, Cellular Vehicle-to-Everything)는 LTE 및 5G 이동통신망을 통해 차량과 외부 기기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주고받는 기술로, 기존의 단거리 전용 통신 기술(DSRC, 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보다 통신 범위가 넓고 지연 속도는 낮아, 자율주행 및 지능형 교통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의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시장은 C-V2X와 5G-V2X를 중심으로 자율주행 인프라를 재편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해 아우토크립트는 통신 모뎀부터 보안 인증, 암호화, 운영 시스템까지 아우르는 ‘엔드투엔드’ 보안 구조를 장기 전략으로 구축 중이다.
이처럼 아우토크립트는 단기 수익보다는 기술 내재화와 생태계 기반 확산에 우선순위를 두고, 연구개발 중심 기술 기업들과 협력해 국내 기술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는 자율주행 시대 보안 기술이 기반 기술부터 실차 적용까지 하나의 체계로 통합되어야 한다는 방향성과 맞닿아 있다.
이러한 기술 중심 생태계 구축 역량은 곧 글로벌 확장성으로 이어진다. 아우토크립트는 규제 대응, 기술 상용화, 수익 모델이라는 세 가지 축을 고루 갖춘 기업으로서 글로벌 보안 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아우토크립트는 차량 내부와 외부 통신을 모두 보호할 수 있는 세계 유일 기업으로, 글로벌 표준을 선도하며 한국 기술 산업의 전략적 자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투데이/이슬기 기자 (sggggg@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