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델Y 10여대 4.2달러 정액요금
美텍사스주 지정 구역서 서비스
구글 ‘웨이모’ 독주 체제에 도전장
자율주행 시장 年 36% 성장 예상… 美中 주도, 한국은 아직 갈길 멀어
美텍사스주 지정 구역서 서비스
구글 ‘웨이모’ 독주 체제에 도전장
자율주행 시장 年 36% 성장 예상… 美中 주도, 한국은 아직 갈길 멀어
![]() |
테슬라의 무인 로보택시가 22일(현지 시간)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 시내를 주행하고 있다. 테슬라는 이날부터 모델Y 차량 10여 대를 활용해 제한된 지역에서 로보택시 상용 서비스를 시작했다. 오스틴=AP 뉴시스 |
테슬라가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로보택시 서비스를 시작했다. 테슬라는 센서에서 제어까지 하나의 인공지능(AI)이 처리하는 ‘엔드 투 엔드’ 기반 자율주행 진영을 대표한다. 그간 인간이 정한 규칙을 AI가 단계별로 처리하는 ‘룰 베이스’ 방식으로 로보택시 시장을 주도해온 구글 자회사 웨이모의 독주 체제에 테슬라가 균열을 만들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 로보택시 시장에 ‘메기’ 테슬라 등장
22일(현지 시간)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X에 “로보택시 서비스를 오늘 오후 오스틴에서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테슬라는 이날부터 정액 요금 4.2달러(약 5800원)에 모델Y 10여 대로, 복잡한 교차로 등을 피해 오스틴의 제한(지정)된 구역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다.
테슬라는 서비스 초기 안정성 논란을 피하기 위해 조수석에 ‘안전 감시자’를 동승시키는 방식을 채택했다. 비상 상황에 개입해 시스템 오류를 바로잡기 위해서다. 이용 고객도 당분간 소수의 인플루언서로 한정했다.
![]() |
웨이모와 테슬라의 자율주행 기술은 확연히 다르다. 선발 주자인 웨이모는 29개 카메라와 레이더, 라이다 등 다양한 센서를 탑재하고 미리 제작된 정밀 지도를 활용해 자율주행을 구현한다. 현재 1500대의 차량으로 피닉스,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 오스틴 등에서 주간 25만 건의 유료 승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반면 테슬라는 8개의 카메라만으로 실시간 도로 환경을 인식해 고정밀 지도에 의존하지 않고도 주행할 수 있다는 점이 차별화된다. 테슬라의 고도화된 자율주행기능 ‘FSD’(Full Self-Driving·완전자율주행)로 이동한 누적 주행거리가 3월까지 36억 마일(약 57억9000만 km)로 웨이모(5670만 마일)의 약 64배에 달한다는 점도 강점으로 꼽힌다.
국내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웨이모는 현재 지도 데이터 수집이 안 된 지역으로 서비스 지역을 확장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 테슬라가 보여줄 로보택시 서비스의 완성도가 양 진영 간 경쟁의 향방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미중이 주도하는 자율주행차 시장
글로벌 자율주행차 시장은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시장 조사 업체 프레시던스 리서치에 따르면 자율주행 시장 규모는 올해 2737억 달러에서 2034년까지 연평균 36.3%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자율주행 시장을 선도하는 국가는 미국과 중국이다. 세계경제포럼(WEF) 보고서에 따르면 10년 후 미국과 중국에서 판매되는 신차의 각각 72%, 83%가 레벨 2단계 이상의 자율주행차 기술을 탑재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서는 웨이모 외에도 아마존 자회사 죽스(Zoox)가 연내 라스베이거스와 샌프란시스코에서 서비스를 시작한다. 중국에서도 최소 19개 회사가 완전 자율주행 차량을 테스트하고 있으며, 바이두와 포니에이아이 등이 베이징과 상하이에서 운행을 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현대자동차그룹이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선도하고 있지만 여러 난항을 겪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지금까지 포티투닷에 1조4000억 원을 투자하며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에 나섰지만 아직까지 이렇다 할 결과를 내놓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한국의 자율주행차 기술이 미국 대비 89.4% 수준으로 중국(95.4%)보다 낮다고 평가했다.
문학훈 오산대 미래전기차학과 교수는 “한국은 무인 자율주행차를 운행할 지역도 부족하고 데이터 수집도 제한적”이며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경찰청 등 관계 부처를 통합한 강력한 컨트롤타워를 구축해 자율주행 데이터 수집부터 법규까지 일원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재형 기자 monami@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