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한국일보 언론사 이미지

환자들 “전공의 피해자 코스프레, 사과 먼저”···전공의 대표 “복귀할 때 아냐”

한국일보
원문보기

환자들 “전공의 피해자 코스프레, 사과 먼저”···전공의 대표 “복귀할 때 아냐”

속보
윤상현 의원, 김건희특검 출석…'尹공천개입 공범' 의혹
일부 사직 전공의 수련 복귀 추진에
환자단체 "재발 방지 약속해야" 지적
전공의 대표 "복귀 서두를 필요 없어"


지난해 4월 5일 충북 청주시에 위치한 충북대병원 복도 한쪽에 휠체어가 놓여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4월 5일 충북 청주시에 위치한 충북대병원 복도 한쪽에 휠체어가 놓여 있다. 연합뉴스


최근 일부 사직 전공의와 의대생이 복귀 의향을 공개적으로 밝히고 나선 데 대해 환자단체가 “국민에 대한 사과와 재발 방지 약속이 먼저”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전공의 대표는 자신에 대한 비토 여론이 확산하는 등 내홍이 일자 “아직 돌아갈 때가 아니다”라며 내부 단속에 나섰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23일 논평을 통해 “전공의 의대생은 자체 설문조사를 통해 복귀 의향을 밝히며 지도부 비판에 나섰지만, 여전히 국민과 환자의 피해에 대한 반성과 사과는 찾아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 “정부가 전문의 시험, 입대 유예, 의대 정원 유연화 등 전례 없는 수준으로 복귀 여지를 열어 두었으나 전공의들은 복귀를 끝내 거부했다”며 “이로 인해 피해를 본 것은 단연코 환자와 가족, 남은 의료진이었다”고 말했다.

연합회는 “(전공의) 단체 지도부 책임만을 말하며 스스로 피해자 위치에 세우는 것은 왜곡된 인식이며 자기 합리화에 불과하다”며 “당신들이 떠난 시간 환자와 국민은 어디에 있었는가. 단 한 번이라도 그 고통과 두려움에 공감했는가”라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전공의와 의대생에게 “국민 생명을 외면한 복귀는 ‘진정한 복귀’가 아니다. 이제라도 국민 앞에 사과하고 다시는 반복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실천하라”고 촉구했다.

연합회는 정부와 국회에 △환자 피해조사기구 발족 △진료 중단 재발 방지 프로토콜 마련 △진료 중단으로 인한 국가 보상제도 신설 △의료공백 재발방지 특별법 제정 등을 요구하며 “환자 피해를 외면한 채 특정 집단이 중심이 되는 의료정책이라면 국민은 또다시 의료공백에 방치될 수밖에 없다”고도 주장했다.

김용태(연단 가운데)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2일 서울 안암동 고려대에서 전공의, 의대생들과 의료 사태 관련 대담을 하고 있다. 국민의힘 제공

김용태(연단 가운데)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2일 서울 안암동 고려대에서 전공의, 의대생들과 의료 사태 관련 대담을 하고 있다. 국민의힘 제공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도 이날 전체 공지를 통해 일부 사직 전공의들의 복귀 추진 움직임에 대해 입장을 밝혔다. 박 위원장은 “대선이 끝났지만 의료 사태는 여전히 막막하다”며 “우리가 지금까지 버틴 이유는 지켜야 할 가치와 명확한 방향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보건의료 책임자가 부재한 상황에서 당장 복귀 여부를 결정하거나 서둘러 기한을 정할 필요는 없다”며 집단행동을 강행할 뜻을 시사했다. 사직 전공의들이 복귀 조건으로 내건 수련 기간 단축에 대해도 “우리의 주요 요구 사항으로 내세울 생각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박 위원장은 “지금 성급한 판단으로 구성원 간 신뢰와 전체 질서를 해칠 때가 아니다”라고도 했다. 복귀를 바라는 사직 전공의들이 박 위원장에게 책임을 물으며 반기를 들고 나선 데 대해 반박하는 발언으로 풀이된다. 박 위원장은 “새 정부와 전향적으로 대화하고 소통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겠다”며 “(전공의) 총회도 충분히 논의하고 (개최를)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김표향 기자 suzak@hankookilbo.com